2019년 한국 제약·바이오社, '미국·중국' 활로 모색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서 글로벌 사업전략 등 공개
2019.01.15 06:15 댓글쓰기

사진 출처 삼성바이오로직스[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올 한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미국’과 ‘중국’에서 활로를 찾을 전망이다.

미국은 R&D 기지로, 중국은 제품 수출을 위한 시장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이 같은 계획은 최근 막을 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분야 투자 행사인 제37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소개됐다.


불과 3~4년 전만 하더라도 다국적 제약사들의 잔치였던 이 행사에 올해는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은 메인세션 발표를 했고 한미약품, LG화학 등은 아시아 세션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들 회사는 발표 세션을 통해 기업 소개는 물론 보유 파이프라인, 사업 계획, 성장 전략 등을 글로벌 기업과 바이오텍 및 투자자들에게 공개했다.


그 내용을 종합해보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을 R&D 거점으로 삼고 오픈 이노베이션을 강화하거나 성장성이 풍부한 중국 시장에 진출한다.

우선, LG화학은 올해 1월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기지를 미국 보스턴에 세웠다. 연구법인인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에선 통풍치료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염증성 질환 치료제의 글로벌 임상을 진행한다.


손지웅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은 “올해 이 곳에서 자체 개발 신약 과제인 통풍치료제와 염증성 질환 치료제의 글로벌 임상을 본격 수행할 계획”이라며 “글로벌 제약사 R&D센터, 바이오텍, 항암·면역질환 전문 의료기관 등이 모여있는 미국 보스턴에서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 발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서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9000억원에 달하는 대형 기술수출 계약을 성사시킨 유한양행도 작년 3월 미국 샌디에고에 이어 지난해 말 보스턴에 두 번째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보스턴에는 연구소, 병원, 다국적 제약사 등이 모인 바이오클러스터가 조성돼 있어 신약 후보물질 및 기술 개발 등에 유리하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실제 미국 보스턴의 경우 하버드대, MIT 등 대학 연구소와 제약·바이오사 250여 개, 대형병원 20곳 등이 밀집해 산학연이 결합된 연구개발 생태계가 잘 조성돼 있다.

"기회의 시장, 중국 진출 가속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의약품 시장 규모가 큰 중국 진출 계획도 이번 컨퍼런스에 자주 등장했다. 한미약품, 셀트리온, 메디톡스,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이 대표적이다.

중국 의약품 시장의 경우 미국, 유럽 등과 비교하면 진입장벽이 높지 않지만 14억명의 인구를 기반으로 한 의료 수요가 풍부하며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북경한미를 통해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한미약품은 중국 내에서 신약 개발까지 추진한다. 2017년 북경한미 매출은 전년 대비 16% 증가했으며, 이는 한미약품 전체 매출의 35%(2300억원)을 차지한다.

한미약품 권세창 사장은 "폐암 치료 신약인 '포지오티닙'을 직접 중국에서 개발하는 전략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오는 2022년 중국내 시판 허가를 목표로 올해 상반기 중 중국 임상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셀트리온 역시 올해 상반기 중국에서 바이오 및 케미컬 의약품 사업을 본격적으로 펼친다.

서정진 회장은 "중국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협상을 활발히 진행 중으로, 이르면 올해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고가 바이오의약품을 사용하지 못했던 중국 환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디톡스도 중국에서 현지 기업과 조인트 벤처인 메디블룸차이나를 설립하고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곳에서 연구를 진행한 보톨리눔 톡신 메디톡신은 작년 3월 임상 3상을 마치고 중국 국가식품의약품감독관리총국에 생물의약품 허가 신청을 끝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도 중국 시장 진출에 나서면서 셀트리온과 주목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 정부가 자국 제약산업 발전 및 의약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있는 만큼 향후 더 많은 업체들이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