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연구 1조 투입·제약산업 등 일자리 10만개 창출
국가기술자문회의, ‘보건의료기술 육성기본계획’ 확정
2018.04.25 17:36 댓글쓰기

 
정부가 치매 연구에 1조원을 투입하고 오는 2022년까지 국민 건강수명을 73세에서 76세로 늘린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또 제약·의료기기·화장품산업 등에서 신규 일자리 10만 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기술자문회의는 25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제2차 보건의료기술 육성기본계획’을 확정했다.
 
보건의료기술 육성계획은 ‘보건의료기술 진흥법’에 따라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 등 8개 부처가 참여해 수립했다.
 
우선 오는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약 1조원을 투입할 ‘국가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된다.
 
정부는 또 향후 5년 간 치매·정신건강·환경성 질환·감염병·국민의료비 절감 연구 등 5대 고비용 보건의료문제 해결에 나설 방침이다.
 
또 첨단 재생의료 임상연구 활성화 및 바이오의약품 신속 출시 지원 법안 등 미래의료 기반 확충에도 적극 나선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제2기 재생의료지원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오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9700억원 규모로 이뤄질 예정이며, ‘첨단 재생의료 및 바이오의약품에 관한 법률’도 제정 추진 중에 있다.
 
정부는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다수 부처에 분산된 신약·의료기기 R&D를 범부처 사업으로 개편하고, 규제 철폐를 통해 제약·바이오·의료기기산업을 미래 신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제2차 보건의료기술 육성기본계획을 통해 지난 2015년 73.2세였던 건강수명을 오는 2022년까지 76세로 늘리고, 제약·의료기기·화장품산업 등에서 10만개 일자리를 새로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