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오미크론 변이 대확산 영향으로 의료진 감염이 잇따르면서 일반환자들 진료 및 수술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특히 중증환자 진료와 수술 등이 이뤄지는 대학병원에서도 교수, 전공의, 간호사 등의 핵심 의료인력들이 격리에 들어가는 경우가 허다해 곳곳에서 의료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병원계에 따르면 수도권을 비롯한 지방 대학병원에서 하루 적게는 십 수명, 많게는 수 십명의 의료진이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진료 및 수술 일정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해당 병원들은 예약환자들에게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등 양해를 구하고 있지만 환자들은 기다려온 진료날짜가 갑작스레 미뤄졌다는 소식에 애를 태우고 있다.
수술의 경우 대체인력 투입 등으로 최대한 일정을 맞추려 노력 중이지만 자칫 의료진의 업무 가중에 따른 의료사고 부담에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동일 진료과목의 경우 의료진 한 명이 확진으로 주변 동료가 감염되거나 능동적 격리대상이 되는 만큼 대체인력 투입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실제 A대학병원의 경우 최근 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의료진의 확진으로 수술일정을 변경하느라 애를 먹어야 했다.
B대학병원은 의사인력 확진에 따른 갑작스런 업무 이탈이 발생하면서 시급성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하고 수술을 진행 중이다.
최근 내부 단장을 마친 C대학병원은 간호사 3명이 동시에 확진돼 인력 공백 및 감염 우려 등으로 진료공간 한 층을 폐쇄, 다른 층에서만 진료를 하고 있다.
D대학병원은 의료진이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한 차례 소동이 일어나긴 했으나 대체 인력을 투입하면서 큰 혼란은 피했다.
다만 이 병원 관계자는 "아직까지 큰 피해는 없지만 만일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고 전했다.
진료소 또한 의료진들의 코로나19 감염 노출이 심각한 상황이었다. 17일에는 서울 성북구청 바람마당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 3명이 신속항원검사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아 임시 폐쇄 조치됐다. 폐쇄 기간은 이날 낮 12시30분부터 18일 오후 1시30분까지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 정부는 앞서 ‘의료기관 업무 연속성’에 방점을 둔 단계별 의료 가동체계 로드맵을 설정한 바 있다.
오미크론 확산으로 의료인 감염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최대한 진료기능을 유지토록 하는 게 골자다.
방역당국이 제시한 ‘의료기관 업무연속성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 지침안에 따르면 확진자 규모에 따라 단계를 구분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1일 확진자수를 기준으로 7000명 ~ 3만명은 1단계, 3만 ~ 5만명은 2단계, 5만명 이상은 3단계로 구분한다.
이미 확진자가 5만명을 넘어 10만명에 육박하는 만큼 현재는 ‘위기’ 상황인 3단계에 접어들었다.
이 때부터 외래진료는 비대면 진료로 전환하고, 확진자 급증으로 음압병동 입원이 불가능할 경우 일반병동 일부를 코로나 병동으로 활용한다.
물론 음압시설 구축을 권장하지만 음압시설 확보가 어렵고 환자가 급증하는 등 불가피한 경우 일반병동과 공간을 분리해 병동 운영을 허용토록 했다.
의료인력의 경우 확진자(무증상 또는 경증)의 경우 3단계부터 3일 격리 후 신속항원검사 음성 시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물품 공급난에 대비해 4 ~ 6주 분의 방호·의료 물품을 비치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물품을 배정하도록 했다.
특히 3단계 진입시 환자와의 대면업무 종사자는 KF94 또는 N95, 장갑, 일회용 방수성긴팔가운, 고글/안면보호구 등 4종 보호세트 착용이 의무화 된다.
일선 의료현장에서도 이미 BCP 3단계를 적용 중에 있지만 실효성은 높지 않다는 지적이다.
감염된 의료진을 격리 3일 만에 업무에 투입할 수 있도록 했지만 추가감염에 대한 부담이 상당하고, 확진 의료진에 대한 환자들의 거부감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E대학병원 교수는 “의료진 감염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진료나 수술 일정 소화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문제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점”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