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고혈압·고지혈증과 다른 지원 시스템 구축돼야"
박석오 위원장 "당뇨병 선입견, 질환 잘 모르는 공직자 설득하는데 어려움 작용"
2024.08.29 05:58 댓글쓰기

 

"당뇨병에 대한 낮은 이해도·진료 저평가로 기피 현상까지 등 의사 수보다 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박석오 대한당뇨병학회 위원장은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당뇨병 지원센터 설립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국내 당뇨병 환자는 최소 5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34세 이하 젊은 환자는 17만 명에 이르는데 유형과 원인, 예후가 각기 다른 경우가 많다. 


특히 1형당뇨병, 임신당뇨병, 2형당뇨병 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경우 장·노년층 만성질환으로서의 당뇨병보다 관리가 어렵고, 기존 만성질환 관리 시스템의 자원과 역량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실상 다른 질병군에 속하는데, 이에 대한 낮은 이해로 근거정책이 수립되지 않고 잇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육, 처방, 관리, 정서적 지원, 전문가 연계 등을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는 권역별 당뇨병 지원센터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저수가·저평가로 당뇨병 진료 갈수록 어려워져"


세브란스병원 교수와 광명성애병원을 거쳐 현재 당뇨병 전문의원을 운영하고 있는 박 위원장은 저수가 등 당뇨병 환자 관리에 들어가는 노력에 대한 저평가로 생기는 진료 기피 현상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그는 "정부는 항상 당뇨병을 1차 의료기관 질환이다. 경증이다. 가볍기 때문에 동네의원들도 충분히 진료를 볼 수 있다고 한다.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도 1차 의료기관에 국한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종합병원에서 20년간 근무한 뒤 개원한 지 4년이 됐는데, 모든 당뇨병 환자 관리에 들어가는 노력에 대한 저평가를 최일선 진료 현장에서 체험해온 임상의사로서 더욱 크게 공감한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단순 감기약을 수 분 내 진찰과 약처방 만으로 받는 것을 기준으로 설정된 진찰료와 인슐린 투여 시작과 관리를 설명하는 수십분 이상의 진료행위가 동일한 수가로 취급받는 현실 때문에, 개원 의사가 '당뇨병전문 클리닉을 표방한다'고 하면 주위로부터 격려보다는 운영이 되려나 하는 걱정어린 시선을 더 많이 받는 실정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제가 있는 광명시 전체에 내과가 40~50개 있는데, 인슐린 스타트를 하는 의원은 거의 없다"며 "인슐린 스타트를 하려면 환자에게 30분 이상 설명하고 투여가 잘 이뤄지는지 피드백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종합병원도 당뇨병 환자 관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박 위원장은 "어느 종합병원이나 외래환자가 제일 많은 과가 내분비내과다. 당뇨병 환자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환자가 감당이 안 되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가 종합병원에 가면 1분도 안 돼서 진료가 끝나고 약을 6개월치씩 처방받는다. 약 매출만 많고 진료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당뇨병은 결토 약만 잘 복용한다고 해서 관리될 수 있는 질환 아니다"


당뇨병 환자 중에서 특히 주위 도움이 필수적인 소아, 질풍노도 시기의 청소년, 그리고 임신·출산·육아 및 취업과 일을 하는 청년들이 당뇨병 관리를 잘하게 한다는 것은 특히 불가능에 가까운 상황이다.


박 위원장은 "당뇨병은 결코 약만 잘 먹는다고 관리될 수 있는 질환이 아니다. 1형의 경우 경구약이 아닌 주사이기에 투약을 잘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혈압, 고지혈증은 성실한 약 복용만으로도 목표 달성이 가능한 만성질환인데, 당뇨병은 인슐린 외에는 생명 유지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며 "당뇨병을 자꾸 같은 수준으로 취급하려는 시각과 선입관이 큰 장애요소이고, 이는 당뇨병을 잘 모르는 공직자를 설득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당뇨병학회는 의사가 아닌 이들이 회원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거의 유일한 학회다. 간호 직역, 영양 직역, 사회복지사 등이 학회 활동을 한다는 게 당뇨병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거다. 의사 진료행위 외에도 다양한 분야 활동이 당뇨병 환자에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박 위원장은 "정부에서 당뇨병 특성을 꼭 이해해줬으면 좋겠다. 의사 수를 늘린다고 절대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법률을 만들어 인력과 예산이 확보될 근거를 만들어야 교과서적 이론을 당뇨병 환자들과 가족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의료 현실에서 겪어온 당뇨병환자 진료 경험상 도달한 결론이다"라고 덧붙였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당뇨인힘내세요 08.29 19:17
    이렇케 맞으세요~ 저렇케 맞으세요 .. 하는데 그수치정도를 맞으면 . 자극적인음식 먹으면

    혈당수치 감당 안됩니다.. 그날 자극적인거 특히 애들은 자극적인거 좋아해서.. 떡복이라던지..

    마라탕?? 이라던지..애들끼리 모여서 먹기때문에...그날은 인슐린 좀더 바로맞는게아니고 미리 쪼금식 맞기때문에 혈당조절 어려울수있어요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