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민 당뇨병 예방·관리를 위해 팔 걷고 나섰다. 올해 초 1형당뇨를 앓고 있는 환자 일가족을 죽음으로 내몬 비극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취지에서다.
경기 평택시는 올해 초부터 경기도 내 지자체 중 처음으로 ‘제1형 당뇨병’ 환자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제1형 당뇨병은 베타세포 파괴로 인슐린이 체내에서 생산되지 못하는 대사성 질환인 만성질환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시는 질병에 대한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정서적 지원과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제1형 당뇨병’ 의료비를 지원키로 했다.
지원 대상은 ▲혈당측정용센서 ▲연속혈당측정기 ▲인슐린자동주입기 구매비용 등이다. 본인부담금 30% 중 20%인 최대 124만 원까지 지원된다.
2022년 기준 ‘제1형 당뇨병’으로 치료받은 환자는 770명이다. 시는 올해 100명에 한 해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신청일 기준 평택시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 중인 제1형 당뇨병 환자(상병코드 E10, 상병명:인슐린-의존당뇨병) 기준 중위소득 100% 미만인 자로 평생 1인 1회 지원한다. 단, 본인 부담 경감 대상자 및 의료급여 등 100% 지원 대상자 등 중복지원은 배제된다.
지원은 예산 소진시까지 진행된다. 신청 서류는 ▲의료비 지급 신청서 ▲당뇨병 관리기기 및 당뇨병 환자 소모성 재료 처방전 및 구매영수증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통장 사본 등이다.
신청은 관할보건소 만성질환팀으로 신청하면 된다.
지자체가 당뇨환자 지원에 힘을 싣는 이유는 올해 초 충남 태안 한 부부가 1형 당뇨병으로 고통받는 8세 딸과 동반자살한 비극적 사건이 발단이 됐다.
부부는 수개월간 병원 치료비로 어려움을 겪으며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충남 태안군은 지난 2월 ‘소아·청소년 제1형 당뇨병 환자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이 조례안은 군수가 소아·청소년 제1형 당뇨병 관리기기 구매비용 중 본인 부담금 일부를 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할 수 있는 내용을 담았다.
환자 현황 등을 조사하고,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상담·교육을 진행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태안에서 제1형 당뇨병을 앓는 소아·청소년은 4명(초2·중1·고1명)으로 집계됐다. 군은 장기적으로 보건의료원에 소아·청소년 내분비 전문의를 채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세종시의회도 소아당뇨 환우 학생 지원방안을 모색 중이다. 세종시의회 교육안전위원회는 최근 세종 지역 1형 당뇨 환우 학생 지원을 위한 간담회를 마련했다.
환우회와 환우 학생 학부모, 시보건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간담회에서는 19세 이상의 성인 1형 당뇨 환자의 지자체 지원과 환우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의 필요성 등이 제시됐다.
이러한 지자체 노력은 지역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는 당뇨병 진단율 격차를 줄이는데 큰 도움을 될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3개년(20∼22년) 평균으로 측정한 시·군·구별 당뇨병 진단 경험자 치료율은 서울 용산구(59.5%)로 가장 낮았다. 용산구에 사는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이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것이다.
서울 용산구에 이어 당뇨병 진단 경험자 치료율이 낮은 곳은 대전 대덕구 66.4%, 서울 동대문구 68.7%로 뒤를 이었다.
반면 부산 강서구(96.7%), 인천 남동구·경북 성주군(96.6%) 순으로 높았다.
가장 낮은 서울 용산구와 제일 높은 부산 강서구의 당뇨병 진단 경험자 치료율 차이는 37.2%p로 확인됐다.
질병청 지영미 청장은 “당뇨병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8위로 조기사망과 장애로 인한 질병 부담이 높은 질환 중 하나”라며 “합병증을 불러오는 위험한 질환으로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주민 당뇨병 예방·관리를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이 낮은 시·군·구 10개소 중 4개 시·군·구 당뇨병 사망률이 전국 평균(10만 명당 9.4명, 연령표준화)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돼 해당 지역은 당뇨 관리에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