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CCTV 설치·운영하니 보호자 중 일부 시청 중단'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
2021.06.28 05:06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수술실 CCTV 설치를 두고 연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국회와 정부는 CCTV 설치 의무화에는 여전히 신중론을 펼치고 있지만, 대리수술 등으로 의사 불신이 증대한 여론은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관절 및 척추 수술을 중심으로 하는 힘찬병원이 최근 과감히 수술실에 CCTV를 도입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힘찬병원은 최근 부평힘찬병원에 이어 목동힘찬병원에서도 CCTV 운영을 시작했다. 데일리메디는 최근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을 만나 CCTV와 의사 신뢰에 관한 현장 목소리를 들어봤다.
 
Q. 수술실 CCTV 운영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나
현재 부평힘찬병원 6개, 목동힘찬병원 8개 수술방에 CCTV를 설치했다. 촬영에는 환자의 동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수술 전(前) CCTV 설치에 대해 설명하고, 촬영을 원하시는지 묻는다. 수술이 시작되면 보호자들은 지정된 대기 장소에 안내받아 개별 공간으로 분리된 곳에서 해당 환자의 수술 장면을 볼 수 있다. 이후 녹화된 내용은 병원에 2주간 보관된 후 폐기된다. 의료진 초상권 문제로 외부로 유출될 수는 없고, 이후 환자나 보호자가 문제 발생에 따라 녹화 열람을 요구할 경우 경찰 입회 하에 가능하다. 아직 초기이다 보니 환자분들 참여가 많지는 않다. 보호자분들 가운데는 환자의 뼈나 근육 모습을 직접 보는 데 거부감을 느끼고 중간에 시청을 끝내는 경우도 있다.

"일부 의사 잘못으로 의료진 전체 매도당하는 슬픈 현실 안타까워"
"감시 당하는 의료진 입장에서 위축되고, 위험수술 기피현상 발생 가능성 충분"
"수술방에 들어오는 간호사들도 CCTV 거부감 크다"
"의사·환자 신뢰 회복으로 CCTV 필요 없는 환경 기대"
 
힘찬병원 cctv 열람실Q. 병원 내 의료진 반응은 어떤지 궁금
솔직히 말하면 찬성하는 의료진은 별로 없다. 내부에서도 논의가 많았다. CCTV 자체가 감시 의미를 담고 있다는 데 대한 거부감이 컸다. 나 자신도, 막상 수술에 들어가 보니 꽤 위축되더라. 환자 신체 중 민감한 부위가 노출되면 병원 문을 닫아야 하는 위험 부담도 있고, 수술이 잘 돼도 회복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데 CCTV로 인해 모든 원인이 수술에 모아지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수술과정 자체를 못 보여드릴 이유도 없지 않는가. 한 번 환자분들에게 공개해 보자. 이런 의견이 모아져 최근 CCTV 설치 결정을 하게 된 것이다.
 
Q. CCTV 설치와 관련한 의료계 반응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은
실제 운영해 보니 대한의사협회 등의 우려에 공감이 된다. 위험한 수술을 하지 않으려 하는 기피 현상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을 것 같다. 앞서 말했듯이 위축되는 부분도 있다. 평소에 잘 하고 있다가도 감시를 받는다는 생각이 들면 움츠러들 수밖에 없는 게 사람 심리 아닌가. 그게 과연 환자에게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다. 일부의 잘못에 의해 의료진 전체가 매도당하는 슬픈 현실이다.
그러나 환자들이 원하는 대로 CCTV 설치를 해서라도 의료진에 대한 불신이 해소될 수 있다면 이 또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물론 수단은 될 수 있을지언정, 이를 통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궁극적으로는 CCTV가 아예 불필요해지는 신뢰 관계가 있어야 한다.

Q. 이밖에도 CCTV 수술방을 운영하며 느낀 어려운 점은 없는지
대의명분은 좋지만 앞서 말했듯이 의사들뿐만 아니라 수술방에 들어오는 간호사들도 거부감이 크다. 일부 병원이 의료계 전반을 다 흔들어 놓은 상황이 안타깝다. 결국 병원과 의사 존재 가치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런데 의사와 환자가 서로 불신하다 보면 치료 결과가 좋기 어렵다. CCTV가 이런 불신을 해소하는데 있어 하나의 초석이 될 수 있다면 시도해 보자는 마음으로 운영하는 중이다. 그러나 CCTV가 영원한 해결책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의료계 신뢰가 회복되고 더 이상 CCTV 필요성 자체를 논하지 않는 상황이 오기를 바라고 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