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 모니터링 환자당 30분, 의사 인센티브 확대 필요'
사후관리 시범사업 종료, '효과 좋지만 병의원·환자 참여 유인책 절실'
2021.01.12 12:3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가 실제 환자 약물 안전관리 효율성을 높이는 '사후관리' 영역까지 확대되기 위해서는 DUR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의사 및 약사를 위한 인센티브 도입을 고민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DUR은 약품의 처방·조제 시 의약품 안전성 관련 정보를 의사와 약사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지만, 주로 사전점검 차원에서 운영되다 보니 막상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의 안전관리 영역은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때문에 전향적인 운영에서 나아가 사후관리를 통한 DUR 고도화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심평원은 지난 2019년 병원과 약국 등 20개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최근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한 DUR 고도화 시범사업 평가 연구에 따르면, 시범사업 참여 기관들은 약물사용 사후 모니터링 및 알레르기 이상반응 보고, 신장 및 간질환자인 경우 환자정보 등록을 실시했다.
 
환자 대부분은 60세 이상이었으며 1건당 모니터링 시간은 20~30분인 것으로 분석됐다. 참여 인력은 약사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전체 사후 모니터링 건수 대비, 확인된 이상반응 건수는 약 3~10%로 노인주의의약품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이상반응 보고의 50%이상이 DUR에서 제공한 정보와 인과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밖에도 입원 환자에 대한 알레르기 및 약물관련 부작용 발생 환자 수가 감소해 의료비가 평균 5500만원 감소한 효과가 있었다. 부작용 보고건수는 기관별 평균 239.4건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참여 병원 대상 인터뷰 결과, 환자와의 소통 증가 및 발생 가능한 부작용 인지 등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었다”고 밝혔다.
 
반면 “모니터링에 한 환자당 평균 30분이 소요되며, 동의서를 얻은 환자에 한해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업무 부담이 크다”며 “의약사 추가 안전 활동은 부작용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수가를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운동실조나 과진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운 지속형 벤조다이아제핀 의약품을 복용하는 노인 수 및 75세 이상 노인 중 다제약물 복용 환자 비율이 OECD 국가들 중 제일 높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의약품으로 인한 부작용 혹은 모니터링에 관한 제도가 부족한 만큼, DUR 고도화를 위한 의약품 및 환자를 선별을 통해 범위를 순차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연구팀은 “모니터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약물을 선정하고, 가이드라인을 구체화해 약물별 구체적인 모니터링 지침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며 “모니터링 수행 요양기관 및 환자에게도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활동 효과를 평가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시 인센티브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 따르면 현재 시범사업에서의 인센티브가 업무량 대비 낮은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 연구를 통해 인센티브 수준을 현실화하고 처방건수가 적은 진료과목 인센티브, 처방변경 기관에 대한 불이익 방지 등의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요양기관 종별·진료과목별 평가 지표 마련 및 보상 모형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행가능성을 확인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