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IT 발전에 공공분야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리나라의 높은 의료수준과 IT기술에 반해 원격의료와 같은 의료분야 IT산업이 지체되고 있으며 특단의 돌파구가 없으면 원격의료, 의료산업화가 의료민영화라는 공식을 깰 수 없다는 분석이다.
박 대표이사는 우리나라 의료수출의 주요 아이템으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처방전달시스템)과 같은 정보체계를 들었다.
이어 사회적 파급효과 혹은 상징적 의미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경제적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혹평했다.
박 대표이사는 분당서울대병원의 사우디아라비아 의료시스템 수출을 예로 들며 "서울대이기에 가능했고, 환영받은 일"이라며 "그럼에도 경제적 효과는 200억원 규모에 그쳤다.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서는 의료서비스제도를 수출할 수 있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만약 서울대병원이 아닌 삼성전자나 다른 민간기업이 이와 같은 업적을 이뤘다면 이같은 반향이 있었겠느냐"며 "공공영역에서 IT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확산해야 보건재정 효울화와 의료산업 활성화, 해외 의료IT와의 경쟁에 대비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
특히 박 대표이사는 노인장기요양을 비롯해 고령화에 대비한 적극적인 IT기술 활용을 주문했다. 삼성전자 임직원의 3배에 달하는 27만여명의 요양인력이 전국 각지에 흩어져 활동하고 있어 비용대비 효과를 위한 원격・IT 기반 의료산업의 발전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일본은 개호보험에 IT기술 접목, 의료 질 높이면서 보험재정 절감"
그는 일본의 예를 들며 "개호보험에 IT기술을 도입, 간병인과 요양보호사 등의 활동에서 의료 질을 높이고 보험재정을 절감하며 이를 발판으로 대만과 북미, 유럽 등지에 진출을 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10년 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6%에 육박해 전체 의료비의 70%를 차지할 것"이라며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의료 질 저하와 재정부담에 대비해 환자정보와 의료관련 정보를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선도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피력했다.
박 대표는 이와 함께 의료산업화나 원격의료를 의료민영화 혹은 상업화와 동일시하는 의식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기술 개발에 수십억원이 투입되고 의료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손봐야하는 작업을 공공이 아니면 누가 할 수 있겠느냐"며 "제약과 의료기기를 포함해 의료산업은 의료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이 포함된 개념으로 민영화와는 다른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정일 前 여의도성모병원장과 오제세 前 보건복지위원장도 "기간산업과 의료서비스, 의료관광 등을 미국식 의료영리화로 잘못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공공의료와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상생・발전할 수 있다"며 복지와 산업이 함께할 수 있어야 한다는데 공감의 뜻을 함께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