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민식 기자] 전국 교정시설 확진자가 1000명에 육박한 가운데 교정시설 방역을 지휘해야 하는 컨트롤타워에 의료진이 없어 문제가 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1일 서울동부구치소(이하 동부구치소)에서는 추가적으로 126명의 확진자가 쏟아져 나왔다. 이날 기준 확진자는 직원 21명, 수용자(출소자 포함) 897명 등 총 918명으로 다른 구치소에서 나온 확진자까지 포함하면 1000명에 근접한다.
이에 법무부는 교정시설 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이날부터 2주 동안 모든 교정시설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을 결정했다.
아울러 모든 직원과 수용자에 대한 신속항원검사 실시를 통해 무증상 감염자를 통한 감염 확산을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교정시설 의료진들 사이에서는 무엇보다 교정시설 운영에 최종 결정 권한을 가진 교정본부에 전문적 의견을 낼 수 있는 의료진을 투입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정시설에서 근무 중인 A의사는 “컨트롤 타워인 교정본부에는 의사가 없다. 교정본부 의료과에 의료진은 간호사 한 명 뿐이고 의료과 과장도 의료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교정시설 각 소에서 일하는 의료진들이 자문을 하기도 하고 의견을 제시하지만 결국 최종 결정은 교정본부에서 내리는 상황이기 때문에 시스템에 문제가 많다”고 꼬집었다.
자연히 감염 방지를 위한 직원 교육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방호복 착탈의 방법, 방호복을 입고 벗어야 하는 공간 분리 등에 대해서도 명확한 지침이 없다보니 직원들도 감염 우려로 불안에 떨 수밖에 없다.
질병관리청과 보건소 인력들도 교정시설 내 감염확산을 막기 위해 투입돼 있지만 역부족이다. 시설 및 수용자들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A의사는 “질병관리청 관계자들도 시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보니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는 데 그친다”며 “세세한 부분을 챙기지 못하다 보니 방역 실패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신속항원검사를 통한 직원 및 수용자 전수검사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그는 “진단검사의학회에 따르면 민감도가 41%에 불과해 신속항원검사로는 확진자를 제대로 찾아내기 어렵다”며 “돈만 쓰고 전혀 도움은 안 되는 행위”라고 말했다.
이어 “차라리 전수조사를 할 거라면 PCR검사로 해야하고 검사 이후 접촉자들을 어떻게 격리시킬 것인지 등에 대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