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비대면 진료 본격화…2027년까지 400억 투입
단계별 진료기술 개발·실증연구…복지부 "재택환자 진료·신속한 병원 이송"
2023.01.05 12:42 댓글쓰기

정부가 코로나19 등 감염병 팬데믹 대응을 위한 비대면 진료 플랫폼과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선다. 2027년까지 의료현장 도입이 목표다.


보건복지부는 5일 ‘2023년 보건‧복지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자료 공개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우선 정부는 미래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비대면 진료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총 399억5000만원을 투입한다.


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는 “이를 통해 감염병 확진자가 대규모로 폭증하는 상황에 대비, 국가의 위기대응역량을 강화하겠다”고 취지를 전했다.  


실제 올해 상반기 중 ICT 기반 비대면 진료기술개발 및 임상현장 실증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R&D)에 돌입한다.


1단계로 오는 2025년까지 호흡기 감염병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 후 2026년부터 2년간 실증단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언택트 감염병 대응체계를 마련하게 된다.


이를 위해 ▲비대면 진료를 위한 모니터링 기술 ▲위중증 선별 및 응급대응 기술 ▲비대면 진료 CDSS‧PDSS 등 개발 등의 과제를 지원한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실증 연구는 국내외 연구개발, 인허가 동향 조사를 통해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구축하고 실증 지원까지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확보한다.


감염병 대응 비대면 진료에 활용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다양한 비대면 진료 기술 간 연계를 통한 활용 가능 여부를 검증하겠다는 것이다.


환자는 재택 등 의료기관 외부에서도 활력 징후 모니터링, 진료 점수, 초기 간호, 진료, 처방 등 기본적인 진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의사는 환자 모니터링 정보, 임상정보, 특정 질환 별 전문 의견을 활용한 환자 진단·처방을 할 수 있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이 목표다.


의료기관 및 방역 관계자는 플랫폼을 통해 중증 환자,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환자 이송과 처치를 위한 자원 배분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지원 기간은 5년 이내로, 복지부는 연간 20억원 이내 연구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비대면 진료 모니터링 기술 개발 연구는 재택 치료용과 시설보호 환자용 비대면 진료 모니터링 기기를 개발하는 과제다.


재택 치료용은 의료취약층을 포함한 감염병 환자들의 정확한 모니터링을 위한 기기다. 시설진료용은 사회복지시설 또는 의료기관에 상주해 자가측정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기기다.


복지부는 재택치료용과 시설진료용 모니터링 기기 개발을 위한 연간 지원 연구비를 각각 9억원으로 책정했다. 지원 기간은 5년 이내다.


감염병 비대면 중증응급상황 발생예측 기술개발 과제는 대면 및 비대면 상황에서 중증환자 발생에 의한 응급상황 발생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는 내용이다.


감염병 비대면 응급의료자원 배치 및 상황관리 기술개발 과제는 감염병 환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비대면 진료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재난의료자원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다.


감염병 비대면 진료 중 의료자원 배분 예측 및 자원배분 가속화 시스템 개발 과제는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 일반응급환자 및 비감염성중증질환(급성뇌졸중, 심근경색 등) 관리를 위한 자원배분 모형 개발에 활용 가능한 DB 구축 및 모형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다.


비대면 진료 CDSS 개발 연구는 비대면 진료 품질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임상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CDSS)과 환자의사결정시스템을 만드는 과제다.


보건의료기술개발과는 “감염병 상황에서 재택치료 환자를 정확하게 진료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송하는 기술 개발 후,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통해 기술의 효과성을 검증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