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광고 사전 자율심의 논의가 계속되는 가운데 국민의 대부분이 의료광고가 과장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마저 잃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28일 의료광고 관련 문제점과 국민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성인남녀 10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언론진흥재단이 설문조사 응답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 전체의 85.5%가 의료광고를 허위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광고 메시지가 과장됐다는 인식은 무려 87.4%에 달했다.
매체별 신뢰도를 따져보면 모든 매체에서 부정적 인식이 50% 이상이었다. 긍정적인 영역에서는 신문·잡지 등 인쇄매체의 의료광고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인터넷 매체가 뒤를 따랐으며 현수막·전단지 등은 신뢰도가 낮았다.
재단은 “중요한 것은 실제 의료광고 대부분이 허위거나 과장된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인식”이라며 “일부 의료기관이 의료광고를 통해 문제를 일으킨다면 그 영향은 전체로 파급되고 의료계 모두에게 피해를 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료광고 규제에 관한 응답자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에 80.1%가 동의했다”며 “이 결과 역시 의료광고의 순기능을 보완하고 역기능을 제어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인 만큼 광고 내용을 자율적으로 심의하고 양질의 광고를 만들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의료광고 내용에 대해서는 응답자는 부작용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88.8%). 과장된 효과나 경험담(86.5%), 의료진 경력 과장(84.7%) 등의 문제점도 그 뒤를 따랐다.
한편 국민들이 생각하는 광고 내에 포함돼야 할 중요한 내용으로는 ▲의료광고 주체 명시 (86.4%) ▲부작용에 대한 정보(85%) ▲치료방법이나 효과에 대한 정확한 정보(84%) ▲진료과목 전문성 정보(84%) 등이 있었다.
재단 측은 “의료광고에 의한 피해는 대부분 일부 의료기관의 과다한 경쟁과 욕심에서 비롯되는 만큼 문제의 해결점은 의료기관의 자정 노력에 있다”며 “불법·위법 의료광고는 국민들의 불신을 키워 강력한 규제를 요구하는 여론을 부르는 등 장기적으로 전체 의료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