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의료 중심 한국형 노인주치의제 도입 필요"
이달 21일 국회 토론회서 제기, 건보공단 "우리나라 적합 모형 개발 진행"
2023.02.22 06:46 댓글쓰기



만성질환 및 치매 관리 등 다양한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을 위한 한국형 노인주치의제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가정의학회 강재헌 정책이사는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초고령사회 노인 의료정책의 해법: 노인 주치의제' 공청회에서 "다약제 복용 및 만성 복합질환 통합관리, 불필요한 입원 감소, 응급실 방문 빈도 감소 등을 위해 노인주치의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재헌 이사에 따르면 국내 만성질환 노인 비율은 89.5%이며 복용 중인 약 종류는 평균 4.1개로 다약제 복용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노인은 복합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치매관리를 비롯해 이들 질병으로 인한 입원이나 장기요양 수요 감소, 건강검진으로 충족할 수 없는 의료요구 등 여러 건강 요구가 있는 환자에 해당한다.


강재헌 이사는 "미국에서는 PCMH(Patient-Centered Medical Home)모델을 통해 환자를 다학제적으로 관리하고 포괄적인 진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병원과 같은 임상적 영역과 커뮤니티센터, 정교단체 등 비임상적 영역이 서로 협력할 수 있게끔 조율하는 역할도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 국내 의료 상황에서는 일차의료 중심 노인주치의제를 운영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강 이사는 "의료소비자인 국민은 일차의료를 의사면허만 가지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질 낮은 의료로 인식하며 의사선택권 제한에 거부감을 가진다"고 설명했다.


또 수련 의료기관에서는 일차진료 교육보다 중증환자 치료를 위주로 하며, 의사 또한 이 같은 사회적 인식과 낮은 급여로 단과 전문의나 대형병원 근무를 더 선호하기 마련이다.


일차의료 부족은 경증질환자를 대형병원으로 집중하게 해 응급환자 및 중증환자에 대한 의료 질을 오히려 저하하고, 의료전달체계를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강 이사는 "주치의를 건강에 관한 조력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현실적으로도 주치의제 운영이 가능할 수 있게끔 지불제도를 개편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이 같은 주장에 공감을 피력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만성질환관리실 박지영 실장은 "주치의제 필요성에 공감한다. 정부도 한국형 일차의료 주치의 모형을 개발 중"이라며 "의료와 복지 서비스 연계를 반영한 모형을 시범사업을 통해 현장에서 운영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