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연관섬유아세포, 간암 면역치료 효과 저하 확인"
서울성모병원 성필수 교수팀, 면역글로불린A와 결합 면역반응 억제 사실 규명
2024.03.18 12:41 댓글쓰기

간암의 암연관섬유아세포(CAFs, Cancer associated fibroblasts)가 면역 단백질인 면역글로불린 A와 결합해 면역반응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을 통해 규명됐다. 


종양 성장을 돕는 ‘암연관섬유아세포’가 간암 면역치료 효과를 저하시키는 규전을 증명한 것으로 이를 토대로 새로운 치료전략까지 제시했다. 

 

성필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은 간내 축적된 면역글로불린 A가 간세포암 주변 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암연관섬유아세포에 영향을 줘 면역 T세포 기능을 약화시키는 기전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이 서울성모병원에서 간세포암 치료를 받은 환자의 조직샘플을 분석한 결과, 증가된 면역글로불린A는 간 내 섬유아세포에 결합하고 이로 인해 섬유아세포가 면역억제 기능이 증가하는 표현형으로 분화했다. 


이는 항종양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T세포 기능 약화로 이어져 간암 발생 및 면역 치료에 좋지 않은 반응을 유발하게 되는 것을 확인했다. 


암연관섬유아세포는 종양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아세포로 종양미세환경에서 암 진행과 전이를 촉진할 뿐 아니라 치료약물 전달을 방해하고 저항성을 유발해 암 치료를 어렵게 한다. 


최근 간세포암의 암연관섬유아세포가 항암제 렌바티닙과 소라페닙 치료 내성을 유도, 여러 표현형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유방암, 췌장암 등 여러 암에서 암연관섬유아세포 역할은 많은 연구 활동으로 알려진 반면, 여전히 간세포암 분야는 부족했다. 


간세포암에서 암연관섬유아세포 형성 기전 및 특성을 규명한 이번 연구로, 이를 제어하는 새로운 면역항암제 치료 전략이 기대되고 있다.  


성 교수는 축적된 간내 면역글로불린 A는 면역 억제를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이며 간세포암의 발전 및 전이의 핵심 요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성필수 교수는 “환자의 간암조직을 실제로 이용한 이번 연구로 암연관섬유아세포의 항종양 면역기능 약화 기전이 최초로 규명된 만큼 간암에서 면역치료 반응율을 높이려면 암연관섬유아세포 제거가 필요하다”고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간장학(Hepatology)' 온라인판에 먼저 게재됐다. 서울성모병원 리더연구자 연구비,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 지원으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