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생 1년···'한국형 변이' 가능성은
“감염자 수 적어 확률 낮지만 추후 완전 배제 못해'···전문가들 '유전체 분석 확대'
2021.02.11 14:57 댓글쓰기
지난해 2월 서울대 감염내과 박완범‧오명돈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전장유전체 분석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데일리메디 박민식 기자] 변이 바이러스가 코로나19 확산 저지에 새로운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한국형’ 변이를 비롯해 변이 바이러스를 조기 발견, 차단할 수 있도록 전장 유전체 분석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10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환자는 총 46명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영국, 남아공, 브라질 변이가 확인됐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가 국내에 유입된지 1년이 넘으면서 ‘한국형 변이’가 나올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규모를 고려하면 현재로썬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한국형 변이 가능성은 처음부터 있었고 앞으로도 있다”면서도 “지금까지 우리나라 정도의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이라면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고 말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역시 “우리나라에도 변이주가 발생할 수는 있지만 아직 확진자 숫자가 많지 않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답했다.
 
실제로 5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약 8만명으로 변이가 발생한 국가들에 비해 확진자 수가 확연히 적은 편이다. 영국은 확진자가 380만명을 넘었고 브라질(약 933만명), 남아공(약 146만명)도 수백만 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하지만 백신 접종으로 인한 집단면역 형성이 늦어지고 그 사이 확진자 수가 늘어난다면 한국형 변이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국형 변이 등 새로운 변이에 출현을 막고 조기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행 차단, 예방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형성과 함께 전장 유전체 분석 확대 필요성을 주장했다.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 백신 효능이 떨어져 집단 면역 형성에 차질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조기 진화하는 것이 최상의 시나리오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변이 발생이나 유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장 유전체 분석이다. 전장 유전체 분석은 새로운 변이를 신속하게 발견해 백신, 치료제, 진단키트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정재훈 가천대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3차 유행의 정점은 지나갔지만 4차 유행은 생각보다 빨리 올 수 있다"며 "대락 3월4일에서 4월23일, 4차 유행의 정점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이어 "변이는 확률적 문제라 한국에서도 많은 감염자가 나온다면 한국형 변이 발생도 가능하다"며 "유행 차단과 예방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형성을 서두르고 전장 유전체 분석도 늘려야 한다. 이를 위해 예산을 더 투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코로나19는 예전 감염속도로 봤을 때 2주마다 한 군데가량 변이가 생겨 예상보다 변이 속도가 빨랐다"며 "특히 백신, 항체 치료제 등과 관련있는 스파이크 단백질 쪽에 누적돼 일어났다는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향후에는 또 새로운 변이가 나와 진단검사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면서 "전장 유전체 분석을 지금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질병청 "아직까지는 한국형 변이 없고, 유전체 분석 확대할 예정"
 
하지만 우리나라 전장 유전체 분석 건수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저조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지난해 12월 24일 국제인플루엔자 정보공유 기구(GISAID) 기준으로는 846건에 그쳤다. 
 
확진자 수에서 큰 차이가 있긴하지만 영국(13만2330건), 미국(5만1212건), 남아공(2730건) 등에 비해 아쉬운 대목이었다.
 
이에 최근 질병관리청은 전장 유전체 분석을 꾸준히 확대해가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확인한 결과 4일 오전 기준 국내에서 수행된 전장 유전체 분석 건수는 총 2604건이다. 지난 연말 대비 약 1800건 가량이 늘어난 수치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집단 발생 및 지역사회 발생 중심으로 전장 유전체 분석을 수행 중이며 해외 유입의 경우는 유행국 전수, 지역사회 확인국가 20%, 변이 발생국가 10%, 그 외 국가 5%를 전장 유전체 분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아직까지 한국에서만 발생한 유의할만한 특이 변이는 없었다”며 “변이 바이러스 발생 증가 등으로 유전자 분석을 확대하기 위해서 지역대응센터, 민간전문기관 등으로 분석 역량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