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졸업 '의사 기초의과학자' 절대부족
'임상·기초 체계에선 우수인력 양성 불가능-교육과정·제도 설계 시급'
2013.10.07 20:00 댓글쓰기

의사 기초의과학자 양성을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임상-기초 분리를 전제로 하는 의학교육 하에서는 의대 졸업생들의 선택을 받을 수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동양대 정병걸 교수·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연구위원·송위진 선임연구위원팀은 최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지에 ‘플랫폼 연구로서 기초의과학 육성과 과제’를 싣고, 이 같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현재 기초의학과는 다르게 의과학 분야는 비의사 과학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젊은 의사과학자 유입은 현저히 줄어들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의학적 축을 구성할 의대 출신의 의과학자 양성 증진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들은 “질병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 분야 간 초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며, 기초의과학은 이런 초학제적 연구의 플랫폼이자 기반”이라면서도 “대학이나 정부 모두 HT 근간이 되는 기초의과학에 대한 지원은 충분하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그 원인으로 임상 중심의 구조와 재정적 지원 부족, 임상-기초 단절에 따른 문제점, 기초의과학 개념 부재에 따른 자연과학 중심, 정책적 무관심 등을 꼽았다.

 

특히 대부분의 국내 의과대학이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으며, 의과대학 생존이 등록금과 대학에 소속된 병원 수입 등에 결정되는 구조여서 상대적으로 소홀해지는 분야가 생겨났다는 것이다.

 

정 박사팀은 “기초의과학에 필요한 의학계 내부 투자자금 조달은 쉽지 않다”며 “등록금과 소속 병원 수입에 의존하는 의과대학이 임상 치료와 달리 결과를 내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필요한데다 불확실성이 높은 기초의과학 연구에 투자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또한 임상의사들과의 기본 급여 차이, 대학원 졸업 후 진로의 불확실성 등도 의사 기초의과학자 양성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판단이다.

 

관련 부처들의 인식이 협소하고 기초의과학 육성에 대한 독립적인 법과 계획이 거의 전문하다시피하는 등 정책적 관심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

 

이에 의사 기초의과학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과 제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의과학자 양성사업은 연구하는 임상의사 양성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상황이다.

 

정 박사팀은 “임상과 기초 분리를 전제로 하는 의학교육 하에서 의과학 분야를 지원하는 의대 졸업생은 극소수에 불과할 수밖에 없다”며 “경력단절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 주고자 박사학위 이수 후 임상으로 돌아가 진료와 연구를 병행하거나 의사과학자로서 의과학 분야 연구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더불어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 확대와 기초-임상 간 중개 연구 활성화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이들은 “임상의, 의학전공자 연구와 자연과학자 연구는 관점의 차이가 있기에 양 방향 연구가 모두 필요하다”면서 “공통 연구 기반 구축 과정에서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그동안 대응하기 힘들었던 성과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사업의 실용화·상업화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