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의료 '심근경색', 국가지정제 추진해야'
서울의대 김윤 교수, 권역의료체계 구축 제안…'지역 불균형 해소도 고민'
2019.12.13 06:4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심근경색환자의 전원율을 낮추고 지역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심근경색 권역 의료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12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심근경색증 환자의 사망률 감소를 위한 권역 의료체계 구축 방안' 토론회에서 이 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우리나라 급성심근경색 사망률이 OECD 평균 대비 1.4배 높으며,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 OECD 급성심근경색 사망률은 평균 7.5%(2015년)에서 6.9%(2017년)로 떨어졌지만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경우 8.1%에서 9.6%로 상승했다.

우리나라의 심근경색 사망률 증가 원인에 대해 정부가 역량을 갖춘 병원을 공식적으로 지정하지 않아 환자 전원율이 높은 데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10년간 의료기관과 의료인이 늘었음에도 심근경색 환자 전원율은 17% 증가했다”며 “이는 정부에서 심근경색 치료 역량을 갖춘 병원을 지정하지 않아 119 구급대원들이 정확한 정보 없이 환자를 이송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심근경색은 골든타임 내 적절한 병원에서 수술받는 게 가장 중요한 원리인데도 국가에서 관리하고 있지 않다”며 “권역 의료체계를 구축해 자격을 갖춘 병원을 지정·관리해 전원율을 낮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역별로 차이가 심한 심근경색 치료가능 병원의 지리적 불균등 분포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김윤 교수는 “지역별로 심근경색 치료가능 병원 분포가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며 “필수의료임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시장논리에 맡겼기 때문에 이 같은 불균형이 발생했다”고 일침했다.
 

지역별 급성심근경색이 발생해서 치료받기까지 소요된 시간(골든타임)은 제주도의 경우 230분으로 가장 길었고, 울산은 117분으로 가장 짧았다. 약 2배의 시간 차이가 있었다.
 

의료시설 부족은 물론 과잉인 대도시 또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윤 교수는 “한 지역에 공급과잉이 일어나면 환자가 분산돼 결국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고난도 수술의 경우에는 공급과잉이 오히려 의료 질과 효율성을 떨어트린다”고 주장했다.
 

이어 “모든 지역 환자들이 증상 발생 후 30분~1시간 안에 병원에 도착할 수 있도록 치료 가능 병원을 전국에 균등하게 배치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가에서 관리하는 권역 의료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