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내과 전문의 절대 모자란데 병상은 넘쳐난다
인구 10만명당 전문의 0.47명 불과, 1인당 372병상 담당 전문인력 충원 시급
2020.12.31 06:1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국내에서 활동하는 감염내과 의사가 턱없이 부족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추가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세윤 순천향대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199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의사들의 감염내과 전공 선택 추이를 분석한 결과, 현재 활동 중인 감염내과 의사가 인구 10만명 당 0.47명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현재 국내 등록된 감염내과 의사는 275명으로, 이는 내과 전문의 7905명 중 3.4%에 불과했다. 

이 중 병원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의사는 242명으로 파악됐다. 특히 임상에서 활동하는 감염내과 전문의는 91.8%가 상급종합병원 등 대학병원에서 봉직의 형태로 근무하고 있었다.

2019년 기준 임상에서 활동 중인 국내 감염내과 전문의는 인구 10만명당 0.47명으로, 2017년 기준 미국 1.76명, 브라질 1.60명 등과 비교했을 때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전문의가 부족하다 보니 1인당 담당해야 하는 병상 수는 다른 나라에 비해 턱없이 높게 나타났는데 국내 감염내과 전문의가 담당하는 병상 수는 1인당 372개인 반면, 유럽에서 61개국 567개 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100병상당 의사 평균 수 1.12명이었다.

또한 감염내과 의사 근무지의 지역별 편차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3분의 2는 서울·인천·경기도 등 수도권에 몰려 있는데 전국 17개 행정구역 중 11개(64.7%)에는 감염내과 전문의 수가 10만명 당 0.47명보다 적었다.

지역적으로는 서울이 1.01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0.62명)와 제주도(0.60명) 순이었다. 경상북도는 0.03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연구팀은 “지역적 불균형은 감염내과가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농촌 지역의 훈련병원이 부족하거나 생활방식 선택 등의 원인일 수도 있다”며 “감염내과 의사 인력 분배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임상에서 활동하지 않는 감염내과 전문의 중 정부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의는 단 2명 뿐이었다.

연구팀은 "정부 기관에서 근무하는 감염내과 의사 부족으로 정책 결정에 있어 의사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며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및 유행성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임상 감염내과 전문의뿐만 아니라 의과학자, 언론인, 공무원 등 감염학을 전공한 비임상 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많은 의사들이 감염내과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합리적인 정책 육성이 필요하다“면서 "감염 관리 및 항균제 관리, 국가 전염병 발생 시의 활동 등 감염내과 의사의 보이지 않는 일에 대한 경제적 보상이 필요하고 특히 국내에서는 지역별 편차가 매우 심각한 만큼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의료접근성 12.31 14:53
    시장원리를 과도하게 빗나가서 생기는 문제다. 중요한 감염병치료에 대하여 자원배분을 좀 더 하고 명백히 무의미한 연명치료는 적절한 치료선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생을 풍부하게 해야할 의료비가 장례식 직전에 다 소비되는 현실을 교정하면서 함께 철학적 문제부터 해결해야할 것이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