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외상센터 최고등급 선정된 병원 교수들 '답답함'
부산대병원 최혁진‧하만정 "생존율 평가 문제, 미국식 모델 대체 한국형 필요"
2023.09.05 06:39 댓글쓰기



연합뉴스 제공


보건복지부 권역외상센터 평가에서 4년 연속 A등급을 받은 부산대병원. 하지만 의료진들은 이 제도가 평가 방식에 있어 적잖은 문제점이 있다는 생각이다. 특히 우리나라 진료 현실에 맞지 않는 환자의 생존율 평가 모델을 지적했다.


최혁진하만정 부산대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은 권역외상센터 평가 중 환자 생존율을 평가하는 모델과 실제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중증외상환자 생존율을 예측하는 데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대한의학회지 8월 28일자에 게재했다.


권역외상센터는 지난 2012년 중증외상환자에 응급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해 현재 17개소가 지정 운영 중이다. 보건복지부는 2015년부터 매년 권역외상센터에 대해 평가를 시행, 개선점을 파악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평가에서 외상환자 생존 확률을 예측하는 방법인 ‘외상 및 부상 심각도 점수(TRISS, 이하 트리스)’에 주목했다. 평가된 환자 생존 확률과 실제 환자 생존 여부를 비교해 해당 권역외상센터의 치료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팀이 2019~2021년 권역외상센터에 접수된 환자 중 신경외상이 나타난 1639명을 대상으로 TRISS를 예측한 결과와 환자의 실제 생사 여부를 비교했다. 


그 결과, 예측과 실제 결과가 다른 경우가 13.3%에 달했다. 특히 환자 의식이 없을수록 오차 범위가 컸다. 경도 및 중등도를 제외한 중증외상 환자만 봤을 때 오차가 37.4%까지 올랐다.


연구팀은 이 같은 오차의 가장 큰 원인으로 트리스 계수를 지목했다.


이와 관련, 하만정 부산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모델 계수들이 미국을 기준으로 정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령 미국과 한국 보험체계가 달라 미국은 단층촬영(CT)을 자주 못 찍지만 한국은 CT가 싸서 이르게 찍어 볼 수 있다”며 “이런 상황이 계수에 반영이 안됐다”고 지적했다.


하 교수는 환자에게 내려진 여러 가지 진단을 트리스가 반영하지 못한다고도 봤다. 그는 “두부에 부상이 있는 신경외상 환자만 해도 급성경막하출혈, 경막뇌출혈, 두개골골절,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등 여러 진단이 내려진다. 그런데 트리스 계산에는 이 중 하나의 진단만 적용하게 돼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한국형 모델 필요성을 제안했다.


하 교수는 “미국 등 해외 연구에서도 트리스를 잘 활용하지 않고 있다”며 “대량의 국내 의료데이터를 메타 분석이나 인공지능(AI) 분석해 외상환자 예후를 평가하는 모델이나 중증외상 환자에 가중치를 주는 변형 모델 등 한국형 지표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를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평가 도구 개선과 함께 권역외상센터 치료 질을 높여 궁극적으로 사회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