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다영 기자] 정부가 커뮤니티케어 추진에 적극적인 의지를 드러내는 가운데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을 위해서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정부는 올해 11월 20일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1단계 : 노인 커뮤니티케어)을 발표했다. 1단계인 노인커뮤니티케어를 시작으로 장애인, 아동 등과 관련한 계획을 순차적으로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대한작업치료사협회가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무엇이 필요한가’ 토론회에서는 커뮤니티케어로 일컬어지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서비스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정민예 교수는 지역사회 ‘지역사회 방문작업치료 모델’의 발표를 맡아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을 위해서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지역사회 방문작업치료 모델로 ▲맞춤형 주거 환경 수정 ▲찾아가는 방문건강 및 방문의료에 작업치료서비스 포함 ▲작업치료사의 서비스 모델 및 제도지원 통한 재가 장기요양 및 돌봄 서비스 획기적 확충 등을 제시했다.
정민예 교수는 “작업치료사는 환자들이 치료를 받은 후 살아가야 할 집은 사람들의 기능과 그들의 의사가 반영돼야 한다”면서 “가정환경 수정은 건축가, 인테리어전문가들이 집을 고치는 것을 넘어 전문성이 필요하다. 환자에 따라 출입구 확대, 욕실 리모델링 등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조언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방문의료에 작업치료 서비스가 포함돼야 한다”며 “종합병원‧요양병원 등 약 2000개 병원에 지역연계실을 설치하거나 전담인력을 배치하고 건강보험 수가로 운영 지원해 방문의료를 시행하겠다는 정부 발표에 작업치료사도 필요하다. 방문의료수가에 작업치료 수가 개발이 필수적이다”고 주장했다.
작업치료사는 손상으로 인한 장애나 노화로 인한 기능 쇠퇴가 나타난 사람들에게 일상생활과 작업을 돕는 전문가기 때문에 환자들 삶의 질을 높이는 커뮤니티케어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정 교수는 강조했다.
또한 “장기요양에서 제공하는 재가급여서비스는 종류가 많지만 다수가 간호, 목욕 등에 그치기 때문에 일상생활지원의 질적 제공은 결여돼 있다. 방문작업치료가 제공되면 개개인에 맞춰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고 인지활동 교육도 가능해질 것이다”고 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정부와 학계 역시 정민예 교수 주장에 공감했다.
대한재활의학회 배하석 정책위원장은 “커뮤니티케어가 집으로 찾아가는 사람 중심의 치료라는 본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방문의료에서 방문재활의 대상 선정 툴 개발 ▲방문진료 팀의 구성과 역할분담 ▲방문진료팀의 교육자재 개발 및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과 이상진 과장 역시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돌봄사업의 성공을 위해 전문가들 간 협력체계 구축이 가장 중요하다고 봤다.
“지역내 전문가들이 지속성을 갖고 연합하고 협력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며 “보건소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CBT)에서는 사실 협의체를 구성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 254개 보건소 중 은평구를 제외하고 이를 실시하는 곳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별로 보유한 자원이 다르고 농촌과 도시는 환경이 다르다.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에서는 지속성을 갖고 지역내 전문가와 인적 자원들을 동원할 협력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