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김민수 기자] 본인 스스로가 건강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중년 여성은 가족 간 대화가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식 교수와 강서영 전문의(국제진료센터 임상전임강사) 연구팀은 평균 나이 57세인 부부 469쌍(938명)의 의사소통 정도와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련 요인, 과거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그동안 건강상태는 기대수명이나 유병률과 같은 객관적 지표로 측정돼 왔다.
최근에는 의학적 진단 여부와 별개로 개인이 느끼는 신체적, 정신적 상태인 ‘주관적 건강’이 개인 건강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준으로도 제시되고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가족 의사소통이 활발한 여성 그룹의 경우 의사소통이 부족한 그룹에 비해 주관적 건강이 좋은 비율이 1.9배 높았다.
이는 50대 이상 중년 여성들 중 “내 건강이 좋지 않다”고 생각할 때 가족 간 대화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연구진은 해석했다.
또 본인과 남편의 가족 의사소통 수준이 둘 다 높은 경우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여성의 주관적 건강이 좋은 비율이 2.3배 높았다.
다만 남성은 가족 의사소통 수준과 주관적 건강 사이에 연관성이 없었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본인 건강을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매우 나쁘다 등 5점 척도로 평가한다.
이 평가 결과물은 응답자의 정신건강과 사회경제적 상태를 반영하며, 사망률을 예측하는 지표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본인이 만성질환 환자여도 일상생활을 원만하게 하고 있다면 본인의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생각할 수 있고, 반면에 특별히 아픈 곳이 없더라도 건강을 지나치게 염려하면 자신의 건강상태를 낮게 평가할 수 있다.
김영식 교수는 “가족 간 긍정적 의사소통이 활발한 경우 서로의 요구사항을 알아채고 문제를 풀어나가게끔 도와주지만, 가족 혹은 부부 간 의사소통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알코올 사용장애, 우울증 등 정신사회적 질환을 야기하게 된다”고 전했다.
이어 “자신이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가족 간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