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케어 부상 맞물려 '가정형 호스피스' 확대되나
정부, 시범사업 ‘25곳→33곳' 늘려···공단 '지역별 고른 분포' 주장
2018.07.31 05:5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호스피스완화의료 모델은 본사업으로 전환된 입원형과 시범사업 중인 가정형, 자문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 가정형 모델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된다. 가정형 모델은 일차의료 및 지역사회 기반과 밀접하게 연계된 커뮤니티 케어로도 해석되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는 2차 시범사업 중인 가정형 모델 참여기관을 기존 25곳에서 8곳 늘려 총 33곳으로 추가 지정을 완료했다.


신규 기관은 종합병원 4곳(중앙보훈병원, 대전성모병원, 제주대병원, 강원대병원), 병원 1곳(엠마오사랑병원), 의원 3곳(인성기념병원, 수원기독병원, 희연의원)으로 구성됐으며 이들 기관은 9월부터 시범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연구한 ‘보건복지연계 호스피스완화의료 제공 모델’ 보고에는 재가 암환자들을 위한 가정형 모델이 대폭 늘어나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 그 의미가 커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달체계는 종합병원급 입원형 위주로 전문완화의료팀에 의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자가 비암성 질환으로 확대됨에 따라 일차의료 및 일반완화의료 등 전달체계 구축과 함께 가정을 포함한 지역사회 중심 서비스 제공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재가 암환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케어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가정형 모델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전국에 25곳이었던 가정형 시범사업 기관이 33곳으로 늘어나는 과정에 있지만, 여전히 환자의 접근성이나 선택권은 미흡한 실정이다.


보고서는 “가정형 호스피스 기관은 환자의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하므로 현재 기관 수와 분포로는 제한점이 많다. 이용 의지가 있는 환자들이 이용을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지적했다.


즉, 가정형 호스피스 기관은 각 지역별로 골고루 존재해야 실질적인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특히 지역사회 중심 서비스에 있어서 대상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지지, 교육, 훈련이 필요하며, 팀을 구축해 팀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가정 및 지역사회 중심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지자체 환경을 고려해 상황에 맞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가정형 호스피스기관을 늘리면서 의료진 방문을 활성화하고 사회복지사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 장기요양시설에 가정호스피스 제공이 가능토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사회 중심 호스피스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일차 의료를 강화하고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조정할 수 있는 케어조정자 역할 기전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