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다영 기자] 대표적 기피과인 핵의학과, 병리과, 방사선종양학과 전공의 10명 중 7명이 후배들에게 해당과 지원을 추천하고 싶지 않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은다.
스스로 기피과를 선택한 전공의들조차 현실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이승우)는 14일 핵의학과, 병리과, 방사선종양학과 전공의 회원 의견수렴을 위해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대전협에 따르면 핵의학과, 병리과, 방사선종양학과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후배나 동생이 지원한다고 하면 추천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74%가 부정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개원하기 힘든 과 ▲병원마다 천차만별의 수련환경 ▲일자리 부족 등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꼽았다.
특히 ‘전문의로서 필요한 역량이 100%일 때 현 수련환경에서 어느 정도 배울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 29%가 ‘1% 이하’라고 답변해 충격을 안겼다.
응답자의 68%는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의 개선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며 체계적이지 못한 연차별 수련환경에 대해 문제를 지적했다.
A 전공의는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규칙적인 수련시간이 보장될 것으로 생각해 지원했지만 커리큘럼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업무가 많아 교육·연구에 대한 시간이 부족해 아쉬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이어 "1년 차부터 4년 차까지 수련내용이 모두 동일하다"며 "수련을 마친 뒤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전반적인 수련환경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
B 전공의는 “전공의 수가 줄면서 업무량이 늘고 있다”며 “호스피탈리스트 등 인력이 보충되는 진료과목과는 달리 인원 충원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며 고충을 털어놨다.
C 전공의는 “밤늦게까지 야근하거나 주말에 나와 일을 하더라도 당직이나 수련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며 "이는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다. 주 80시간 근무라는 전공의법이 준수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전협 이승우 회장은 “전문의 취득 이후 취업 등의 문제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역량 중심의 수련 프로그램 개발 등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