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에 따르면 23일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총 투표자수 1190명 중 찬성 1078명(90.6%), 반대 111명(9.3%), 무효 1명(0.1%)으로 압도적 비율로 총파업을 가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병원 노사 양측은 임금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접점을 찾기가 여간 쉬워 보이지 않는다.
파업 직전 최종 합의에 성공할지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첨단외래센터 등을 포함한 내부 갈등까지 겹쳐 설상가상에 놓여있다.
서울대병원 노조는 이날 파업이 가결됨에 따라 오는 25일(수) 시계탑 건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노사 양측은 지금까지 총 9차례 임금 협상을 진행했지만 여전히 현저한 입장차로 앞으로도 간극을 좁히는 게 험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상은 일주일에 2회 진행되고 있다.
노조는 정액제를 적용, 현재 '기본급 + 21만6556원'과 '5월 효도휴가비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병원 측은 임금 동결을 주장하고 있다. 최근 직면해 있는 병원계 현실이 그 어느 때보다 녹록치 않은데다 비상경영을 선포할 만큼 최악의 경영 위기여서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최근 병원계를 압박하고 있는 정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만큼 더 이상의 양보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병원 관계자는 "의료공공성 부분도 문제이지만 임금 협상을 둘러싼 노사 입장이 첨예한 상황에서 노조측이 만족하지 못해 결국 파업을 강행한다고 하면 이를 막을 뾰족한 방안이 없지 않나"라면서 "다만, 이견을 좁히기 위해 기획조정실장, 행정처장을 비롯해 노사 양측 10명이 계속해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서울대병원 노조는 지난해 10월 병원측의 경영 절감을 위한 비상경영선포 등 내부 방침을 포함해 임금·처우 개선 등 협상 테이블에서 결국 의견을 좁히지 못해 총파업에 돌입한 바 있다. 2007년 10월 이후 6년 만에 벌어진 파업이어서 더욱 이목이 집중됐다.
당시 적지 않은 부담감을 느낀 오병희 원장이 파업이 진행되는 내내 조속한 시일 내 파업을 종결 짓겠다고 공언했지만 사실 여러 분야에서 갈등을 겪었다. 핵심 쟁점 역시 수두룩했다.
서울대병원 노조는 지난해 ▲임금 총액 13.7% 인상 ▲선택진료제 및 의사성과급제 폐지 ▲비정규직 정규화 및 인력 충원 ▲적정 진료시간 확보 ▲어린이 환자 식사 직영 등을 요구했다.
병원계 한 관계자는 "사실상 공공의료와 경영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한국의 국립 대학병원들이 살아가기에는 쉬운 일이 아니고 위기가 또 오지 않을 것이란 보장 역시 없다"며 "이런 때 일수록 위기의식을 갖고 장기적인 계획을 내놓는 등 노사가 서로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