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외국인 환자 100만명 유치를 목표로 설정한 정부가 금년도 천명한 외국인 환자 유치 계획 인원은 40만명이다.
하지만 34만명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외국인 환자 유치 비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6만여명 부족 예상 다양한 전략 모색 필요"
또 한국 의료관광이 국제정세에 취약한 구조라는 진단과 함께 해외 변수를 극복하고 다각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30일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이 주관한 ‘2016년도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및 한국의료 신뢰도 제고를 위한 사업 설명회’에서 진흥원 홍승욱 팀장은 “우리나라 의료관광 시스템 자체가 국제 정세의 변화에 많이 흔들리고 있다”며 “중심을 잡고 장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유가 하락 따른 외국인환자 급감 및 현지 한국행 메디컬 비자발급 거부율 증가"
정부는 작년 대비 10만3000명 증가한 40만명의 해외환자 유치를 올해 목표로 하고 있으나, 진흥원이 상반기 샘플조사를 한 결과 현 추세대로라면 34만명에 그칠 것으로 추계됐다.
▲국제‧경제적 변수 ▲주변경쟁국 부상 ▲방한(訪韓) 관광객 감소 등이 감소 요인으로 지목됐다.
유가 하락 등 국제정세 변화로 인해 러시아, 카자흐스탄, 몽골 등의 환율가치가 하락할 때마다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환자 유치 계획에도 차질이 생기는 현실이다.
홍 팀장은 “주요 타깃 국가들이 주로 저개발국가 환자들이다. 그러다 보니 환율 변동에 민감해 한국 의료기관에도 적극적으로 오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약 8000조원 규모의 글로벌 헬스케어시장 선점을 위한 일본, 중국, 대만 등 아시가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엔화 약세에 따른 일본 가격경쟁력 강화와 메르스 발생 등의 여파로 인해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관광지로서 한국보다 일본여행을 선호하는 추세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베트남, 몽골, 우즈베키스탄 등 주요 국가의 환자들 불법 체류율 증가로 인해 현지 메디컬 비자 발급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시장질서 건전화를 위해 불법 브로커 단속에 나서자, 외국인 환자도 함께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제도권 내에서 환자를 더욱 많이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 부처 등은 외국인 환자 유치의 양적 성장은 물론 질적 성장을 거둬 장기적인 수요를 확보해나가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미용성형 부가가치세 환급 제도, 불법브로커 단속, 외국어 의료광고를 공항 및 항만 면세점에 게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다양한 제도와 지원책이 마련됐다.
더불어 유관단체들은 우수의료기관 평가인증제도, 통역검정제도를 마련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 것과 함께 의료관광을 더욱 활성화시킨다는 계획이다.
홍승욱 팀장은 “융복합 의료관광상품을 개발해 판매 중인데, 이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하반기 내에 실시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해외홍보협의회 전시에 참가해 유치 상품 판매를 활성화하고, 한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에게 의료기관 이용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환율해지가 가능한 금융상품을 개발해 환율 변동에 크게 좌우되지 않고 한국 의료기관 찾을 수 있도록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국제 정세에 흔들림 없이 로열티를 갖고 성장할 수 있도록 VVIP 마케팅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추후 ‘메디칼코리아 VVIP PASS’를 마련해서 럭셔리 의료관광 서비스를 연계시키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