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의료기기 활성화를 위해 의료기기 연구개발(R&D) 전주기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의료현장 진입을 위한 실증사업과 글로벌 규제 변화에 따른 인력 양성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더해졌다.
연세대학교 의료기기산업학과 구성욱 교수는 최근 열린 '의료기기 혁신성장포럼'에서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4542억달러(약 597조)로 연평균 5.9% 성장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주요 산업 중 하나인 반도체 시장과 비교하면 86.5% 수준이다. 국내 의료기기 시장 규모 역시 지난 5년간 연평균 10.2% 상승해 2021년 9조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급속한 시장 성장에도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은 저조한 실정이다.
"국산 의료기기 자급률 제고 방안, 개발부터 임상·인허가·마케팅 등 전주기 지원 필요"
구 교수는 국산 의료기기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발부터 임상, 인허가와 마케팅 등 전주기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의료진 사용 경험을 축적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구 교수는 "우수한 국산 제품이 있어도 의료진 사용 경험이 없어 제품 품질과 성능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며 "병원과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의료진 임상평가를 축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2기 기획, 혁신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 일몰 연장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은 혁신적인 의료기기 개발·인허가·시장출시 전주기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는 2025년 일몰을 앞두고 있다.
구 교수는 "예비타당성조사 진행을 통해 2기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 교수는 또 제품 인허가 이후에도 실사용을 위한 실증지원이 절실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의료기기 개발 후 근거 축적이 부족해 현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