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중환자실 의사들 처절한 외침…"한계 봉착"
"전공의 의존도 매우 높은데 집단사직으로 현상 유지도 힘든 상황"
2024.04.26 14:19 댓글쓰기

"필수의료 이야기가 나올 때 모두가 숟가락을 얹고 너도 나도 지원을 요청하더니 사태가 이렇게 되니 중환자실만 현장에 남았다."


의대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집단휴진 사태가 두달 여 장기화되면서 중환자실 근무 의사들 피로가 한계에 봉착했다는 처절한 외침이 이어지고 있다. 


26일 홍석경 중환자의학회 기획이사(서울아산병원 외과)는 국제학술대회 기자간담회(KSCCM-ACCC 2024)에서 "중환자실은 상대적으로 업무강도가 강해 전공의 의존도가 굉장히 높다"며 "현 사태로 느끼는 결핍이 타과에 비해 크다"고 토로했다. 


홍 이사에 따르면 현재 중환자실에서 많은 장비와 치료가 전문화 및 최신화됐지만 남은 교수들로는 이를 유지하는 것조차 버거운 상황이다. 


앞서 일부 수가가 확대됐지만, 현재 수가에 해당하는 인력 반영은 이뤄지지 못해 중환자실 격무와 피로도는 한계치에 도달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홍 이사는 사태 해결 이후에도 여파는 장기간 지속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홍 이사는 "중환자의학은 업무 강도가 워낙 높아 전공의 업무 기여도가 너무 크다. 이 사태가 아무리 좋게 끝나도 모두들 예상처럼 전공의들은 100% 현장에 복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번 사태가 필수의료를 붕괴시키는 직격탄이 됐다. 중환자실은 직접 몸으로 충격을 견디고 있다"며 "누구를 위한 대책인지 반문하고 싶으며, 이번 사태가 해결되고 근무 여건은 한동안 좋아지지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위기 중환자실, PA 활용은 충분히 가능한 옵션"


서지영 중환자의학회장(삼성서울병원 내과)은 PA(physician assistant)에 대해 충분히 고려 가능한 옵션이라는 사견을 밝혔다. 


4년제 간호대학 졸업 후 추가 3년의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양성하는 방식을 주요 방안으로 꼽았다. 


서 회장은 "학회 공식적인 입장은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충분히 시도 가능한 옵션이라고 본다"면서도 "다만 간호인력이 전문의 수준(특정영역에 한해)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인력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미국에서 활용 중인 방안으로 전공의 수준 역할을 병원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 직군을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PA에 대한 국내 해석은 각기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지만, 공식적인 직종으로 충분한 교육 시스템을 갖춘다면 활용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다.


특히 서 회장은 중환자의학 발전을 위한 방향도 제안했다. 


그는 "국내 의료 어느 문서에서도 중환자에 대한 구체적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 공식적인 부서도 없다"며 "전문과목도 아닌 문제들과 결부됐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이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nono 04.26 15:00
    인사이트 아쉽네,,, 문제의 근본인 박살난 수가와 심평원 삭감 제도를 고칠 생각을 하셔야지 PA 양성으로 구멍 떼우듯이 해결이 되나요?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