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과학회를 중심으로 호스피탈리스트 도입에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대한외과학회 역시 TF팀을 구성하는 등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잰걸음을 걷고 있다.
일찌감치 화두로 떠오른 환자 안전성 확보는 물론 수련환경 개선과 맞물려 정부 역시 제도 도입의 당위성에 공감, 시범사업 및 수가 산정에 대한 로드맵까지 설정하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
대한외과학회 노성훈 이사장은 최근 데일리메디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춘계학술대회때 전국 외과 과장 및 주임교수들과 한 자리에 모여 호스피탈리스트 도입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노 이사장은 “야간이나 공휴일 등 입원환자에 대한 질 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이는 비단 내과만이 아니라 응급환자 발생이 많은 진료과에서도 분명 필요한 제도”라고 강조했다.
노 이사장은 “특정과에서 입원환자를 다 본다는 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중환자를 케어할 수 있다면 적절하지 않나라고 생각한다”며 “특히 외과계의 경우 촉각을 다투는 환자들이 많다”고 주장했다.
노 이사장은 “이렇듯 중소병원, 대학병원도 상황이 다르고 할 수 있는 수술도 차이가 있다”며 “또 각 단위 의료기관 간 입원환자 구성도 일률적이지 않다”고 덧붙였다.
때문에 각 병원에서 호스피탈리스트에 대한 모형을 적합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노 이사장은 “그렇다면 내과계에서만 모형을 구축하는데 참여할 것이 아니라 외과계 역시 포함돼야 한다고 본다”며 “호스피탈리스트를 응급실에 둘 것인지, 아니면 입원실에 둘 것인지부터 중지를 모으는 일이 현재로서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장 큰 문제는 지금까지 전공의들에게 적절한 수련이 가능하도록 원활한 교육이 이뤄졌어야 하지만 사실 아쉬운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물론 여기에는 ‘비용’에 대한 부분이 영향을 미친다.
"호스피탈리스트 도입되면 전공의 업무 부담 줄이면서 교육 질(質) 제고 방안 수반돼야"
노 이사장은 “호스피탈리스트가 도입된다면 전공의들이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줘야 한다”면 “전공의들 업무 로딩을 줄여주고 입원환자 진료의 질을 높이자는 취지를 반드시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 병원에만 책임과 의무를 지우는 것에 대해선 경계감을 표했다.
노 이사장은 “그렇잖아도 병원 경영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호스피탈리스트 제도 도입에 대한 부담까지 떠 안는다면 본래 취지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노 이사장은 “비용 부담에 있어 반드시 국가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며 “앞서 호스피탈리스트 제도를 운용한 경험이 있는 병원들의 사례도 함께 머리를 맞대며 최선의 결과가 도출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현행 PA와 호스피탈리스트 등을 비교 선상에 놓는데 대해선 조심스러운 입장을 견지했다.
노 이사장은 “PA와 호스피탈리스트는 엄연히 다르다. 의사가 할 수 있는 영역 자체가 다르지 않냐”며 “PA와 관련해서는 추후 논의가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