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삼성바이오 '울고' SK바이오팜·LG화학 '웃고'
바이오산업 진출 대기업 운명 갈려···업계 '전화위복 기회'
2019.06.04 04:5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바이오산업 진출 대기업들의 희비가 극명하게 교차하고 있다. 코오롱생명과학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데 비해 SK그룹과 LG화학은 국내외 시장에서 광폭 행보 중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검찰이 퇴행성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 허가를 받기 위해 성분이 바뀐 사실을 숨긴 혐의를 받는 코오롱생명과학과 코오롱티슈진을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 2부는 증거 인멸 우려가 있어 코오롱생명과학 본사와 미국 자회사인 코오롱티슈진 한국지점 등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인보사 개발 관련 자료 등을 확보했다.

이우석 코오롱생명과학 대표 등 제품 개발·허가에 관여한 임직원들 주거지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완료하면 조만간 이들도 소환조사할 방침이다.

이번 검찰조사는 식약처가 지난 5월 30일 인보사에 대한 허가를 취소하고 동시에 코오롱생명과학과 그 대표 등 관련자들을 허위 자료 제출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 조치하면서 이뤄졌다. 

식약처 결정으로 인보사를 투여한 환자 244명은 회사를 상대로 25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고, 주가 폭락으로 손실을 본 주주들도 260억원에 달하는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코오롱생명과학에 앞서 분식회계 및 증거인멸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으며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검찰 수사에서 삼성전자 사업지원 TF 소속 임원들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을 감추기 위해 체계적인 증거인멸에 나선 과정이 드러났다.

금태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삼성전자 P모 상무와 S모 상무의 공소장을 보면 삼성전자 사업지원 TF는 작년 5월부터 증거인멸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금감원 감리 결과가 나온 뒤 사업지원TF는 검찰 수사에 대비해 백 상무에게 콜옵션이나 합병 관련 자료를, 서 상무에게는 회사 공용 서버를 은닉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TF 지시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 공장 바닥에 회사 공용서버를 숨기고,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임직원 노트북 30여 대에 저장된 자료를 직원 집 창고에 숨긴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 수사망은 분식회계 및 증거인멸 의혹의 '정점'에 서 있는 삼성전자 핵심 고위직 2명으로 좁혀가고 있다. A모 부사장과 L모 부사장의 구속영장 심사는 4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다.

반면, SK그룹 최태원 회장의 숙원인 바이오 사업은 순항 중이다. 자회사 SK바이오팜은 자체 개발 기면증 치료 신약 '솔리암페톨'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판매 승인을 획득함에 따라 연내 코스피에 상장할 계획이다.

단, 무리하게 상장을 추진하기 보단 오는 11월 또 하나의 호재가 될 뇌전증치료제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RNR 시판 허가가 결정되면 공모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재 증권업계는 SK바이오팜의 기업가치(적정시가총액)를 5조~7조원 수준으로 평가한다. 기업가치가 이 같이 높게 평가된 까닭은 세노바메이트의 시장 잠재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뇌전증 시장 선도업체인 UCB제약의 빔팻(Vimpat)의 매출이 연 13억 달러 수준이란 점을 감안할 때 세노바메이트의 미래 예상 매출은 2026년 기준 1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SK그룹 못지 않게 LG화학도 바이오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다. 특히 LG화학은 대형품목인 당뇨치료제 '제미글로' 등을 보유하며 케미칼의약품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LG화학은 국내외 파트너사들과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화학은 생명과학 부문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2016년 기준 912억원에서 올해는 1800억원으로 두 배가량 늘렸다.

오는 2020년에는 2000억원, 2024년에는 3000억원으로 예상 매출액의 약 30%를 신약개발을 위해 투자할 방침이다.

이 같은 대대적인 R&D 투자를 통해 임상 1상 파이프라인이 지난해 2개에서 2025년 17개까지 8배정도 늘어날 예정이다. 당뇨·대사질환, 항암·면역 부문에 대한 단계별 로드맵을 만들어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할 계획이다.

글로벌 임상시험을 수행할 글로벌 이노베이션 센터도 미국 보스톤에 설립했다. 이 연구센터에서 자체 개발 신약 후보물질인 통풍치료제 및 염증성질환치료제 등에 대한 글로벌 연구를 통해 상업화에 속도를 낸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 산업에 대기업들이 뛰어들며 시장 파이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기대가 컸으나, 인보사 사태, 분식회계 사건 등이 잇달아 터지면서 오히려 업계가 위축돼 있다"며 "이런 사건들이 전화위복이 돼 바이오 산업이 더 성숙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