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7월 파산 부산 침례병원 해법 '장기화'
市, 내달 중후반 의견서 접수 예정···'공공병원화' 가능성 촉각
2018.04.08 18:59 댓글쓰기

지난해 7월 경영난으로 파산,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부산 침례병원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다.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등을 둘러싸고 복잡한 셈법이 관측되고 있는 모양새다.
 

최근 침례병원 입찰의향서 제출 시한이 2개월 연기되면서 오는 5월 중하순께 정도가 돼서야 사태 해결의 단초가 마련될 것으로 예측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현재 침례병원 입찰의향서 제출 시한을 오는 5월 25일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부산시 관계자는 “공공병원 설립 의향이 있는 기관의 의향서도 들어올 수 있지 않겠느냐는 판단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지난 3월21일 부산지방법원 파산부는 “침례병원이 공공병원으로 설립돼야 한다는 주장이 있기 때문에 공공병원 설립 의향이 있는 법인이나 단체에 참가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이라는 근거를 제시한 바 있다.
 

부산의료노조 부산본부 등 30개 시민사회단체로 이뤄진 ‘침례병원 파산에 따른 새로운 공공병원 설립을 위한 부산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는 침례병원의 헐값 민간 매각을 멈추고 새로운 공공병원 설립을 해야한다는 주장을 펼쳐왔다.
 

이들은 입찰의향서 접수 시한 이전까지 공공병원 설립 필요성을 피력하는 조직 활동을 계획 중이다.
 

시민대책위 관계자는 “4월 18일 침례병원 공공병원 설립을 위한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부산 지역에서 침례병원이 공공병원화 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대책위 관계자는 “퍼레이드와 퍼포먼스 등을 비롯해 부산시 면담도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간 시민대책위는 “부산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전국적으로 가장 심각하지만 이와 관련된 공공의료대책은 전무한 현실”이라며 “촘촘한 공공의료벨트를 구축하고 아동과 여성, 청년과 장년, 노인과 취약계층 등 특화된 공공병원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 왔다.
 

침례병원의 공공병원화 논의가 이뤄진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부산시도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침례병원을 직영병원으로 설립하기 위한 논의를 시도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현재까지 구체적인 논의 결과는 나오지 않은 모습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유관 기관과 관련된 여러 사안이 가닥이 나면 시도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부분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