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 거주하는 노년 여성의 척추 건강이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도시 노년 여성과 비교해 허리 기능장애 빈도가 높아 건강관리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보라매병원 재활의학과 이상윤 교수와 영상의학과 김동현 교수팀은 최근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여성의 척추 건강과 근감소증 등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전북 순창군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과 성별-연령이 매칭된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직업상태 및 운동참여 정도를 조사했다.
또한 척추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대상자의 요추 신전근을 3차원 분석하고, 척추 및 신체 운동 능력을 평가했다.
연구결과 농촌 노인들이 도시 노인들에 비해 단순 노동 및 농어업에 더 높은 비율로 종사하고 있었다.
반면 운동 참여율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유형에 관계없는 운동 참여율은 농촌 여성(60%)이 도시 여성(92%)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척추 기능 평가에서도 척추 안정화와 연관된 등척성 체간 신전근력이 도시 노인에 비해 농촌 노인이 더 작았으며, 허리 기능장애 점수도 농촌 노인이 더 높았다.
이러한 척추 기능의 차이는 궁극적으로 척추 만곡 정도와도 연관이 있는데, 도시 노인보다 농촌 노인이 요추가 더 많이 굽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운동보다 노동과 생업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농촌 지역 노인에서 척추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저하돼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도시 지역이 여가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인프라가 더 좋은 반면 농촌은 단순 노동 분야 취업률이 높아 근골격계 질환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상윤 교수는 “노년층에게 의료복지 인프라 차이가 만성질환과 퇴행성 척추질환 조기 진단 및 치료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어 “노년층의 척추 건강와 운동습관 지원을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SCIE급 국제 학술지인 ‘Rural and Remote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