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형 긴급치료센터 운영에 돌입한 가운데 응급의학전문의 주도 국내 어전트 케어 생태계 조성 필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어전트케어(Urgent care)는 의사 예약을 할 수 없을 때 또는 주말, 퇴근 시간 이후 및 휴일 등의 상황에서 즉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곳으로 미국, 캐나다 등에서 대중화된 시스템이다.
최근 의정사태 이후 응급의학전문의들 개원이 늘어난 만큼 이를 달빛어린이병원 제도와 유사한 지원책을 마련해 경증응급의료 대응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양성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응급의학전문의 중심 어전트 케어에 대한 본격적인 생태계 조성 논의"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은 25일 데일리메디를 통해 "서울형 긴급치료센터가 의료인력 부족과 본인부담률 인상 등으로 응급실 이용이 어려워진 경증환자의 진료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응급의학과전문의 중심 어전트 케어에 대한 본격적인 생태계 조성이 논의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통상 오후 6시부터 밤 12시까지 경증환자 의료접근성을 높이고 응급실 혼잡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특정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긴급치료센터가 아닌 어전트케어의 본격적인 양성 및 지원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앞서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의료기관, 119구급대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야간·휴일 경증환자가 응급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울형 긴급치료센터'(UCC) 2곳과 '서울형 질환별 전담병원' 4곳 운영을 예고했다.
긴급치료센터는 경증환자 응급실 이용 줄이기를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응급실이 방문이 잦은 경증환자질환인 외상, 급성기 질환(복통, 기침, 고열, 구토 등) 등을 중심으로 진료할 예정이다.
제도 시행 첫해인 올해는 더 건강한365의원(양천)과 서울석병원(송파)을 시작으로 매년 확대할 계획이다. 우선 서울형 긴급치료센터 2곳을 매일 아침 9시부터 밤 12시까지 운영한다.
다만 이 같은 제도는 상대적으로 의료 인프라가 풍부한 서울지역에서는 활용 가능성이 크지만, 경기권을 넘어 지방까지 제도가 확산되기는 어려운 한계점이 존재한다는 평이다. 이에 전국적인 활용 가능성을 내포한 어전트케어 확대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이 회장은 "실제로 어전트케어를 컨셉으로 개원한 응급의학 전문의들이 수년간 상당히 늘었다"며 "현장에서 개업해 일하고 있지만 응급전담만로는 사실상 병원 운영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야간 응급대응 어전트케어 '진료수익' 보장돼야 지속 운영 가능
현재 365의원 등 어젠트케어를 표방한 24시간 병원들에 응급의학전문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지만, 경증 응급환자 진료만으로는 사실상 병원 운영이 어려운 상태로 비급여 진료에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미국이나 호주의 어전트 케어 클리닉의 경우 1인당 방문 진료비가 보통 한화로 20~30만원 수준이다. 국내와 달리 야간경증 환자만을 진료해 병원을 운영해나갈 수 있는 구조다.
또 미국 어전트 케어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 코로나 환자들의 70~80%를 수용해 국가적 감염병 대응에도 큰 효과성을 발휘한 만큼 국내 도입에도 긍정적인 효과성이 전망된다.
이에 응급의학 전문의들이 개설한 야간진료병원이나 어전트케어가 명맥을 이어갈 수 있도록 국가적인 지원 및 양성체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인천 영종국제도시의 경우 최근 인구가 10만명을 돌파하는 등 소아‧청소년 인구는 물론 응급진료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지만 의료기관 중 상당수가 평일 오후 8시 이내 진료를 종료해 야간 응급대응이 필요성이 부각됐고 24시간 365의원이 이를 대응하고 있다.
이 회장은 “인천 영종도 같은 경우 119가 출동하면 무조건 다리를 건너야 한다. 하지만 응급실이 없어 응급의료 대응력이 부족한데 어전트케어 컨셉 365의원이 야간 경증환자 및 응급환자를 일부 해소한 공로로 인천시장 표창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형과 서울형 어젠트케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수입 구조와 야간응급 진료에도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우선”이라며 “현재는 응급의학 전문의가 어전트케어를 운영해도 응급실을 찾는 경증환자를 받는 부정기적 수입구조로는 자생할 수 없어 국가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