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채용
당뇨환자 '임플란트 성공률' 높이는 방법 찾았다
연세대 치과보철과 이재훈 교수팀, 'HIF-1α' 전사인자 규명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치과보철과 이재훈 교수팀
[사진]은 당뇨환자의 임플란트 성공률이 낮은 원인과 이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았다고 13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성공 여부는 수술 후 주변 뼈 형성과 유착에 달려있다. 뼈가 잘 자라나 단단히 붙어야 삽입한 임플란트가 고정돼 치아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 성인의 경우라면 임플란트 성공률이 95%에 달하지만 혈당 조절이 어려운 당뇨환자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해 치료 성공율이 떨어진다.
이 교수팀은 HIF-1α라는 전사인자의 역할에 주목했다.
HIF-1α는 사람의 몸에서 기인하는 전사인자로 골절이나 뼈를 잘라내는 수술 후 치유되는 과정에서 발현돼 혈관 생성 및 뼈의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당뇨환자는 이런 HIF-1α의 발현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이에 이 교수팀은 정상인 동물군 HIF-1α를 표면 처리한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NH), 정상인 군에 HIF-1α를 표면 처리하지 않은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NP), 당뇨를 앓고 있는 동물군 HIF-1α를 표면 처리한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DH), 당뇨를 앓고 있는 군데 HIF-1α를 표면 처리하지 않은 임플란트를 식립한 그룹 등 총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눠 표면 골 접촉과 골량을 살폈다.
연구 결과 NH 55%·NP 45%·DH 38%·DP 18% 등으로 정상군에서는 물론 당뇨군에서도 HIF-1α의 표면 처리여부가 임플란트와 뼈의 결합에 차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량의 경우에도 각각 50%·50%·47%·28% 등으로 분석돼 당뇨를 앓고 있는 군이라도 HIF-1α를 표면 처리할 경우 정상군에 근접한 수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HIF-1α의 존재 여부가 정상군에서보다 당뇨군에서 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