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나이프 수술, 뇌(腦) 혈관기형 치료 효과 입증"
서울대병원 백선하 교수팀, 해면상 혈관종 환자 79명 10년이상 장기 추적
2024.09.26 09:34 댓글쓰기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뇌(腦) 해면상 혈관종(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 CCM) 환자들에게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장기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특히 수술 후 연간 출혈률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해 향후 뇌 해면상 혈관종 치료에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뇌 해면상 혈관종은 뇌에서 두 번째로 흔한 혈관 기형으로, 주로 뇌출혈, 신경학적 결손, 두통, 경련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무증상일 경우 보존적 치료가 권장되며, 증상을 유발할 경우 미세수술이나 방사선 시술이 고려된다. 


최근 건강검진을 통해 무증상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뇌 해면상 혈관종 자연 경과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아 최적 치료법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의 10년 이상 장기 치료 성적을 다룬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팀은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을 받은 뇌 해면상 혈관종 환자 233명 중 10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79명의 환자 예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전후의 연간 출혈률(AHR), 신경학적 회복 정도, 방사선 관련 부작용(ARE), 그리고 병변 크기 변화를 분석했다. 평균 추적 기간은 14년이었다.


연구결과 10년 이상 추적 관찰된 79명의 환자군(GKS(S))에서 수술 전 21.4%였던 출혈률이 수술 후 2년 차에 3.8%, 10년 차에 1.4%로 크게 감소했으며, 그 이후에는 2.3%로 유지됐다. 


특히 뇌간에 위치한 해면상 혈관종 환자의 경우 수술 전 출혈률이 27.2%였으나 수술 후 2년 차에는 6.0%, 10년 차에는 3.5%로 감소해 출혈 위험이 크게 줄었다. 


추적 관찰에서 신경학적 결손을 보였던 환자 중 74.3%는 마지막 관찰 시 증상이 회복됐고, 대부분의 병변(81.3%)은 크기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방사선 관련 부작용은 환자의 6.4%에서 발생했으나, 이로 인한 사망자는 없었다.


출혈 위험 요인으로는 이전 출혈 경험과 뇌간 병변 위치가 유의미한 인자로 확인됐다. 


2016년 발표한 연구에서는 수술 전 출혈 이력이 있는 환자들의 재출혈 위험이 뇌간 병변에서 32.3%, 비-뇌간 병변에서 6.3%로 보고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후 뇌간 병변의 재출혈 위험이 4.9%, 비-뇌간 병변에서는 1.1%로 크게 낮아졌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뇌 해면상 혈관종 초기 치료로서 출혈률과 방사선 관련 부작용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출혈 이력이 있거나 뇌간에 병변이 있는 경우 보존적 치료보다는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출혈 위험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백선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뇌 해면상 혈관종 환자들에게 장기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임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출혈 병력이 있거나 뇌간에 병변이 있는 환자들에게는 이 치료법이 적극적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