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민식 기자] 과거 대비 우리나라 암 관련 지표가 많이 개선됐지만 암 환자들 가운데서도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이들이 많다는 지적이 나왔다.
노인암 환자를 비롯해 치료가 어려운 말기암 환자, 고가 신약을 사용할 수 없는 난치암 환자 등을 위한 치료 및 관리 시스템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16일 보건복지부 주최로 열린 ‘제4차 암관리 종합계획(안) 공청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지난 1996년부터 시작한 암관리 종합계획이 그간 이룬 성과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소외된 암환자들을 위한 대책은 부족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연세암병원 라선영 교수는 “정부가 조금 더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이 노인암”이라며 “노인암 환자가 굉장히 많은데 무조건 나이 많다고 수술도 못하고 항암도 못하냐고 하면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럼에도 노인암 환자 치료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 결과가 너무 부족하다. 이런 환자들을 위한 정책과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민태원 기자는 “암에 걸려 치료중이거나 완치된 사람에 대해서는 관리가 이뤄지고 있지만 치료에 실패했거나 병원서 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이야기를 들은 암환자들은 사각지대에 몰려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런 환자들이 얼마나 되며 어디로 가서 어떻게 치료를 받고 있는지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고가 항암신약의 문제 역시 암환자와 가족들에게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 혁신 신약도 의료기기처럼 선등재 후 차후 평가 제도 마련돼야"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 대표는 “생명과 직결된 항암제는 신속하게 보험 등재하는 제도가 필요하다”며 “의료기기는 선등재 후 차후 평가하는 제도가 도입됐는데 혁신적 신약에 대해서도 신속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암환자들에게 암과 관련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창구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동국대일산병원 오상우 교수는 “개구충제 펜벤다졸부터 여러 사태를 봐왔는데 잘못된 정보에 대한 대응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며 “국가암지식정보센터가 하나의 시스템을 구축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날 복지부는 ▲고품질 암데이터 구축 및 확산 ▲예방가능한 암 발생 감소 ▲암 치료 및 돌봄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하는 ‘제4차 암관리 종합계획(안)’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암 빅데이터 활성화 ▲암 예방‧검진 고도화 ▲암 치료‧대응 내실화 ▲균등한 암관리 기반 구축 등을 추진전략으로 삼고 ‘어디서나 암 걱정없는 건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