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 당시 정부 전략은 책임 회피' 파문
美 오상화 교수팀, 191건 보도자료 분석···'예측·통제 불가 재난상황으로 인식'
2016.05.27 11:43 댓글쓰기

지난해 메르스 사태를 두고 정부가 책임 부정 및 회피하는 위기관리 전략을 주로 사용했다는 주장이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로부터 나와 향후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메르스를 예방할 수 있었던 위기 상황이라기보다는 예측 또는 통제할 수 없었던 재난 상황으로 인식한데 따른 조치로 풀이되는데 정부의 책임 소재가 더욱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회장 백혜진)는 27일 충북 오송 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서 춘계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미국 애팔래치안주립대학(Appalachian State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학과 오상화 교수팀은 메르스 첫 확진 환자가 발생한 2015년 5월 20일부터 7월 28일까지 배포된 191건의 정부 보도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정부는 단지 7건의 보도자료에서만 자신들의 책임 여부를 명시했다. 이 가운데 5건은 정부 또한 메르스 사태의 또 다른 ‘희생자’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1건의 보도자료에서만 해당 사태를 정부가 예방할 수 있었던 위기 상황이라고 규정했다.


반면 같은 기간 보도된 570건의 메르스 관련 언론보도 중 143건의 기사에서 사태에 대한 정부의 책임 여부를 직접적으로 거론했다.


또 모든 기사는 메르스 사태를 정부가 통제할 수 없었던 위기상황이라고 보고 있지 않았다. 정부 대응 및 정책을 언급한 290건의 기사에서도 1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부정적으로 보도됐다.


이는 늑장 및 부적절한 대응 비판에 대해 정부가 반박하거나 위기 또는 위험이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위기 전략을 주로 이용, 책임여부에서 벗어나고자 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총 101건의 언론보도에서 ‘정부가 위기 상황에 대한 대처를 잘 못하고 있다’고 질타하거나 71건에서 ‘신속하지 못한 대응’이 주로 언급됐다.


오상화 교수는 “메르스 사태와 같은 국가 공중보건 위기시 위기 대응 주체인 정부와 국민을 대변하는 언론과의 인식 차이가 극명하게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국가 감염병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책임 회피 전략보다는 책임을 보다 적극적으로 인지할 필요가 있다”면서 “책임과 역할에 대해 보다 투명하고 솔직하게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