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채용
'땀 악취증 환자' 30대 이하 압도적···전체 74% 차지
건보공단 '전체 환자는 5년간 감소 추세, 겨울철에 많이 발생'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불쾌감을 유발하는 '땀 악취증(질병코드 L75.0)' 환자의 대다수가 젊은 층에 분포돼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22일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서 2015~2019년간 ‘땀 악취증’ 진료 환자를 분석한 질병통계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땀 악취증으로 진료를 받은 건강보험 환자수는 최근 5년간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4768명에서 2019년 3508명으로 연평균 7.4%가 줄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 환자가 전체의 73.9%를 점유했고 40대 이상은 26.1%에 불과한 것으로 나왔다.
또한 계절별로는 겨울에 땀 악취증 환자가 많았다. 지난해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겨울(40%, 1906명) ▲여름(23%) ▲봄(22%) ▲가을(15%) 순인 것으로 나왔다. 최근 5년간 통계에서도 겨울에 41%의 환자가 발생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김지언 교수는 최근 5년간 환자수 감소 추세와 환자의 대부분이 젊은층인 것과 관련해 "유병률 자체가 줄어들었다기보다는 땀 분비를 조절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에 대한 정보 및 일반의약품들이 널리 알려지면서 병원을 바로 찾는 환자의 수가 감소했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땀 악취증의 주 원인이 되는 아포크린샘 분비가 사춘기 이후 활발해지는데 따라서 이 시기에 땀 악취증 환자 수도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겨울철 환자가 많은 원인에 대해서는 "땀 악취증은 땀 분비가 많은 시기에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증상은 여름에 가장 심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땀분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계절인 겨울에 병적인 것으로 인식하기 쉬우며, 치료도 수월한 시기로 여겨 겨울에 내원하는 환자가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고 봤다.
김 교수는 "땀 악취증은 주로 땀샘 중에서도 아포크린샘이 원인이 된다. 위생이 좋지 않거나 당뇨나 비만 등 박테리아가 과증식 할 수 있는 환경에서 악화될 수 있다"며 "겨드랑이를 자주 씻고 방취제나 땀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차적인 치료 방법이며 이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보툴리눔독소 주사나 레이저치료, 초음파치료 혹은 지방흡입이나 피부절제법, 피하조직절제법 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