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할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지난 14일 ‘2018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의 글로벌 신약개발 비전’이라는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이같이 주장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여재천 전무
[사진 左]는
“신약개발을 위해 보건복지부 외에 타 부처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라며
“R&D에 있어서는 보건복지부가 임상비를 지원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고 말했다
.
복지부 역할은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적절한 임상연구를 지원하는 것이며 상업화되는 과정에서 임상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여 전무는 “한올바이오파마가 보여줬듯이 앞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은 계속해서 역량을 발휘할 것이다. 효과적으로 신약개발이 지속되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부처별로 역할을 나누어 지원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여재천 전무는 이전에 벤처기업과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은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IT기업이 대다수를 차지했던 벤처기업은 초기비용이 많이 들지 않았지만 이와 달리 제약‧바이오 스타트업은 자체적으로 연구실을 갖춰야 하고 R&D에 투자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비롯됐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정부가 나서서 조세감면, 투자 유도 등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2018년 정부에 지원확대를 지속적으로 요구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연구개발 투자 유도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국내기업이 자체개발에 성공한 신약이 국내외 시장 진출시 법이나 제도 등 규제 개선 ▲약가, 인허가 등 병목현상 해소를 추진한다.
또 이외에도 전주기 신약개발 지원 환경 조성을 위해 신약개발 단중장기 연구개발 대책을 수립하고 과기부, 산업부, 복지부 등 정부 부처별 빅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여 전무는 “이를 통해 2018년에는 혁신제제기술 확보로 글로벌 제제기술 강국 진입과 바이오 제제화 분야의 글로벌 시장 선도를 목표로 삼고 있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제제기술 확보로 수입기술 의존적인 패러다임을 수출형 선진 기술로 변화시켜 글로벌 의약시장에서 혁신 제제 기술에 기반한 블록버스터급 의약품을 창출할 것”이라며 “세계적으로 초기단계인 바이오의약품의 특징에 맞는 다양한 원천 플랫폼 기술을 개발해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