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국가표준 마련…u-헬스케어 새 국면
2011.12.21 01:15 댓글쓰기
정부가 최근 국가 차원에서 의료정보 데이터 표준을 마련키로 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내년 상반기 도입을 목표로 현재 지식경제부 산하 기술표준원이 연구용역을 의뢰한 상태다. 결과에 따라 현재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U헬스케어 산업이 활기를 띄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표준원측은 21일 “의료정보 데이터 표준 확립을 주요 골자로 ‘u헬스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U헬스케어의 경우 원격의료에 대한 법적·윤리적 논쟁 이외에도 각급 병원들이 사용하고 있는 환자정보의 가공 및 처리 방식이 다르다는 점에서 이를 통합하는데 있어 기술적 난관에 부딪혀 왔었다.

실제로 환자의뢰 및 되의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기준으로 데이터를 구축해 온 탓에 일부 병원의 경우 자체적인 시스템을 개발해 운용하고 있을 정도다.

즉,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협력 병원간 정보 교류는 조금씩 진행되고 있지만, 대형병원과 대형병원간 이동이나 의원급에서 의원급으로 환자정보가 이어지는 통로는 원천 봉쇄돼 있다.

하지만 이번에 정부가 의료정보에 대한 국가 표준을 만들고 이를 실제 적용하는 단계까지 적극 나서기로 함에 따라, 앞으로 국내 의료정보 시장도 변혁기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의료정보 국가표준화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가천의대 최덕주 교수는 “u헬스케어가 산업화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표준화 작업은 필수”라며 “지금이나마 다시 불이 지펴지게 된 점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디지털병원수출조합 등을 중심으로 플랜트 단위로 해외로 병원을 수출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표준에 맞춘 국가표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최 교수는 “의료산업은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 이 과정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대형병원들부터 변화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데이터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겠냐”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미 국가표준을 세우기 위해 정부 차원의 시도가 있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비록 지난해를 끝으로 좌초하기는 했지만, 지난 2005년부터 5년간 정부는 평생건강정보기록(EHR) 구축을 목표로 기술표준원이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유사한 부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최 교수는 “외형적으로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겠지만 당시에도 국제표준에 근거해 국가표준을 만든 것으로 안다”며 “국민적 공감대만 형성한다면 앞으로 우리나라 역시 의료정보 선진화 국가 대열에 올라설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