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종합병원들이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입원전담전문의가 내년 진행될 5주기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에 주요 변수로 떠오른 까닭이다.
순천향대부천병원은 최근 임상교원 채용 공고를 내고 입원전담전문의 모집에 나섰다. 모집 기한은 8월 31일까지다.
모집인원은 한 자릿수로, 지원 자격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외과, 가정의학과, 응급의학과 전문의다. 근로시간은 평일 8시~17시며, 급여 및 기타 근무 조건은 추후 협의한다.
순천향대부천병원 외에도 현재 상당수 상급종합병원이 입원전담전문의 모집을 진행 중이다.
고대구로병원의 경우 현재 진료과목 제한 없이 전문의 자격 소지자를 대상으로 외과병동에 근무할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3월에는 코로나19 중환자실에 근무할 감염내과 입원전담전문의를 모집하기도 했다.
서울아산병원도 금년 3월 내과 입원전담전문의 모집 공고를 낸 데 이어 6월에도 채용 공고를 한 차례 더 올렸다. 울산대병원 역시 지난 6월 입원전담전문의 모집공고를 냈다.
인천성모병원은 3월부터 외과 입원전담전문의 모집공고를 진행 중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6월 입원전담진료센터에서 신장내과 전문의를 모집했다.
한양대병원은 올해 1월 응급병동 근무 내과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을 진행으며 충남대병원도 3월부터 입원전담전문의 상시 채용에 나섰다.
경희대병원도 지난 2월부터 내과 및 외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을 진행 중이며, 이대목동병원 또한 6월부터 내과계 병동에 근무할 입원전담전문의를 모집 중이다.
칠곡경북대병원의 경우 작년 말 코로나19 병동 전담전문의 4명을 포함, 올해 총 10명의 내과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을 진행했다.
계명대 동산병원은 지난해 연말 내과 입원전담전문의 상시 채용 공고를 낸 뒤 현재는 모집 완료한 상태다.
영남대병원의 경우 지난해 말부터 현재까지 내‧외‧소아청소년‧신경과 입원전담전문의를 채용 중이며, 대구가톨릭대병원은 올해 초부터 내‧외과 입원전담전문의를 모집하고 있다.
삼성창원병원도 올해 채용을 목표로 지난해 야간병동 전담의와 중환자실 전담의를 모집했다.
부산대병원도 올해 6월 내과 입원전담전문의 채용 공고를 냈고, 부산백병원도 올해 1월 소아청소년과 입원전담전문의 채용 모집을 진행한 바 있다.
지난 4기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에서 입성 실패 또는 박탈의 고배를 마신 병원들도 5기 재입성을 노리고 내과입원전담전문의 모집에 나섰다.
4기 입성에 실패한 순천향대서울병원은 1월 내과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을 진행했고, 성빈센트병원도 7월 내과 및 외과 입원전담전문의 모집을 시작했다.
3기에서는 상급종합병원이었지만 4기에서 제외된 고신대 복음병원 또한 5월 가정의학과 및 내과, 외과 입원전담전문의 등 총 4명을 채용하겠다고 공고한 바 있다.
'상급종합병원' 타이틀 유지 필수요건으로 부상
일선 전담의들, 완화된 기준 불만 피력
이처럼 상급종합병원들이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에 나선 이유는 '상급종합병원 지정기준'과 직결돼 있다. 제5기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에 입원전담전문의가 중요한 변수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5월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상급종합병원 지정 세부 기준에 따르면, 4기 지정에서 예비기준이었던 입원전담전문의 채용 여부는 이번 평가부터 정식 기준으로 반영된다.
의사 인력 영역에서 ‘300병상 이상 기준 병상당 입원전담전문의 수’ 및 ‘입원전담전문의팀’ 구성 여부 등이 평가 항목에 신규 등록됐다.
근무체계 또한 평가에 반영된다, 3형(주 7일, 24시간)에는 만점이 주어지며, 다음으로 2형(주 7일, 주간)과 1형(주 5일, 주간) 순으로 점수가 매겨진다.
이 같은 채용 상황에 대해 입원전담전문의 현장에서는 환영하면서도 우려할 만한 부분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외과 정윤민 교수(입원전담전문의)는 "입원전담전문의가 늘어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기준이 150병상에서 300병상으로 완화된 점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3월 조사결과 45개 상급종합병원 중 35곳만이 입원전담전문의를 채용했고, 그나마 15곳은 2명 이하를 고용 중이었다"며 "그들이 그만둔다면 대안이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결국 구색 맞추기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장기적으로 기준을 강화하면서 고용 확대를 위해 수가 개선을 비롯한 근본적인 대책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