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보건의료 분야에서 노조와 병원계가 산별교섭을 통해 95개 의료기관에서 총 1만3000여 개에 달하는 일자리를 만들어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건의료노조는 24일 보건의료노조 회의실에서 ‘산별교섭을 통한 인력확충,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합의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보건의료노조 측은 올해 초기업 산별교섭을 통해 95개 의료기관에서 1만 3226개(소요재정 1549억)의 일자리를 창출해냈다고 밝혔다.
특히 공공의료기관에서 인력충원, 비정규직 정규직화에 큰 성과가 있었음이 확인됐다.
74개 공공의료기관에서 총 1991명이 신규인력으로 충원됐고 1만97명의 비정규직은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민간의료기관 21곳에서는 236명의 신규인력이 충원됐으며 902명의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보건의료노조 측은 “올해 이러한 성과는 보건의료노조가 설립된 후 19년간 혼신의 힘을 다한 결과”라고 전했다.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 간 차이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보건의료노조는 “공공의료기관이 민관의료기관에 비해 비정규직이 압도적으로 많다”며 “민간의료기관은 대부분 비정규직 비율이 낮고 정부 지원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에 참여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민간의료원 중에서도 ‘비정규직 제로 병원’을 선언한 경희의료원이 있다”며 “경희의료원은 원래도 비정규직 비율이 낮은 병원인데 민간병원임에도 비정규직 제로를 선언한 ‘병원계의 ’갓뚜기‘’라고 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같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이뤄낸 비결로는 ‘산별교섭’을 꼽았다.
보건의료노조 측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적극적인 노사정 대화가 초기업 단위의 산별교섭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성과 달성이 가능했다”며 “개별 병원들에 일자리 창출을 주문했다면 병원끼리 눈치싸움을 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성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산별교섭의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산별교섭 제도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산별교섭을 통해 양질의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보건의료분야 초기업단위 산별교섭 제도화가 필요하다. 기업별 노조 중심의 법과 제도를 산별노조 중심의 법과 제도로 전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노조는 또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사회적 대화 기구의 필요성”이라며 “보건의료분야 노사정 3자와 전문가가 힘과 지혜를 모으기 위해서는 법·제도적 조치와 행정·재정적 지원책, 그리고 사회적 대화 기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