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이하 의대·의전원협회)가 의사과학자(MD-PhD) 양성을 위한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교육부, 미래부 등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2016년 예산 반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의사과학자는 의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으면서 과학 분야 중개연구 및 융합연구를 담당하는 전문가다.
매년 노벨의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면 의사과학자 부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지만, 정작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의지는 미약한 실정이다.
강대희 의대·의전원협회 이사장은 지난 19일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인재들이 의과대학에 몰려 노벨상에 대한 기대가 크지만, 정작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투자에는 인색하다”라고 밝혔다.
의대·의전원협회는 지난 2월 '의사과학자 육성 사업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을 열고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교육부, 미래부, 복지부 등 3개 부처의 전주기적 지원 프로세스를 정립했다.
우선, 모든 의과대학을 관할하는 교육부는 기초의과학 전공트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진 확보, 학생 교육과정 재정적 지원 및 졸업 후 진로 개발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미래부는 수련의가 활동할 영역 확보가 주요 과제다. 의사과학자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의사과학자 진료 관련 바이오 기업 등 고용 창축 지원책 마련 등이다.
복지부는 의사과학자의 안정적 연구를 위한 수련기관 연구 환경 조성, 수련의 급여 및 연구비 등 재정 지원을 맡는다.
이를 위해 의대·의전원협회는 교육부에 80억원, 미래부에 300억원을 요청하며 각 부처를 찾아 설득 작업에 나섰지만 부처 예산 편성에 반영되지 못했다.
"2025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 의사과학자 1000명 확보 목표"
의사결정 과정에 관련 전문가 참여가 부재해 의사과학자에 대한 교육부 내 인식이 높지 않고, 의사 지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크지 않은 것이 걸림돌이 됐다.
과거 관련 사업도 발목을 잡았다. 과거 정부는 의사과학자 육성 필요성에 공감해 지원에 나섰으나 의전원으로의 정책 변화와 '미흡' 판정을 받은 낮은 사업 평가 결과로 2013년 관련 예산이 반영되지 않아 명맥이 끊겼다.
평가 과정에서 인력 양성사업의 특성상 단기간 내 성과 창출이 어렵다는 측면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중개연구인력양성사업에서 소규모, 산발적으로 지원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내년 관련 예산이 약 7억 편성돼 있지만 의전원만 사용 가능하고 이마저도 매년 줄어드는 추세다. 국가차원의 전주기적 의학연구자 양성 지원사업이 없는 것이다.
의대·의전원협회는 2025년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 의사과학자 1000명을 확보한다는 목표 아래 보다 체계적인 조직을 꾸려 대응할 방침이다.
강대희 이사장은 “2004년 노벨화학상을 탄 아론 시카노바가 서울대학교 주임교수 회의에서 '한국의 노벨상은 의학에서 나와야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며 “그 역시 이 같은 프로그램에서 키워진 인물”이라며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그는 “지금도 연구위원회를 중심으로 TF가 꾸려져있지만 향후에는 보다 체계적으로 만들어 이들을 설득해 내년 예산, 어렵다면 내후년이라도 해당 사업을 정부에 관철 시킬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