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 첫 폐업 사례인 진주의료원에 대한 여론이 악화일로다. 경상남도의 독단적인 결정이라며 노동계와 야권, 지역 민심이 요동치는 모습이다.
의료원의 폐업이 현실화되자 직원들은 최근 병원 로비에서 농성을 벌였고, 경상남도를 항의 방문하기도 했다.
또 진주의료원 조합원들이 경남도 소속 공무원인 행정실장 출근을 정지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인 행동에 나선 것은 보건의료노조다. 노조는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이 나오자마자 대책 회의를 열고 강력 대응을 결의했다.
이후 경남도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진주의료원 지부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도청 간부들과 면담했으나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주목할 것은 지역 여론이다. 지역 민심은 대체로 경남도에 우호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폐업 결정 이후 진주의료원을 되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른다.
경남도 산하 공기업이 막대한 부채비율을 보유함에도 유독 진주의료원을 폐업한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처서라는 주장도 나온다.
민주당 백재현 의원이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경남도 산하 9개 공기업의 평균 부채비율은 270%에 달했다. 이는 전국 평균의 2배가 넘는 수치다. 전국 광역시·도 지자체 중 네 번째에 달하는 수준이다.
도 내 공공의료 기반이 부족한 상황에서 진주의료원 폐업은 지역민 공공복지에 역행한다는 의견도 많다. 폐업 결정 이전에 경영정상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진주의료원 폐업이 향후 전국 지자체에 폐업 도미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큰 게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진주의료원 사례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진다.
경남도 결정에 대해 재검토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경남도의 입장은 완고한 상황이어서 향후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