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아열대성 생약자원에 대한 관리 및 연구를 통해 한약(생약) 품질관리와 생약 주권을 튼튼히 하는 주춧돌이 될 것이다."
서경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장[사진 左]은 지난 11일 제주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에서 전문지 출입 기자단을 만나 이 같이 말했다.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는 기원이 확인된 생약자원을 확보·보존·연구하고, 한약재 품질관리 기준인 표준생약을 확보하기 위해 구축됐다.
생약 자원이 자라는 기후대에 따라 충북 옥천, 강원 양구 등에 센터가 있다. 1992년 가장 먼저 만들어진 옥천센터에선 온대성 생약, 2001년 설립된 양구센터는 고산성 생약을 연구 및 관리한다.
제주센터는 지난해 12월 준공돼 가장 늦게 건립됐다. 면적은 4만6,882㎡(14,182평)이며, 재배장과 온실, 연구동, 전시동으로 구성돼 있다.
서 원장은 "생약 품질관리를 위한 기원종 관리는 식약처 소관 업무"라며 "제주센터는 생약자원 수집, 개발 및 보존에 관한 조사 및 연구 업무를 수행하는 기구로 생약자원 관련 국가총괄관리 수행에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약재는 건조 및 절단 행태로 유통돼 정품과 위품 구별이 어려워 기원 확인 및 표준시료 확보가 중요하다"며 "제주센터는 이중 아열대성 생약자원 기준 및 규격 등 품질관리에 대한 조사·연구·개발·보존 등의 업무를 맡는다"고 부연했다.
그는 "나고야의정서 대응도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며 "우리나라는 생약자원의 5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로열티 지불 추정액이 최대 1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실제 해외 생물자원 이용 시 원산국에 사전통보하고 이익을 공유해야 하는 나고야의정서가 2018년 8월 본격 시행되면서 우리나라는 더 이상 유전자료(원료)만 수입해 제품으로 개발, 판매할 수 없다.
유전자원 보유국의 사전허가와 협상을 통해 이익을 공유해야 한다. 게다가 많은 국가들이 나고야의정서에 따른 합법적인 자원 수출입 증거로 '의무준수 인증서(IRCC)'를 발급하고 있다.
2019년 2월 13개국 327건에서 2022년 6월 기준 22개국 3819건으로 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생약자원 관련 국가총괄관리 주무부처가 없는 실정이다.
"생약 활용 및 개발 확대되는 추세지만 표준화된 자원관리 부재한 실정"
손수정 의료제품연구부장은 "생약은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등에 다양하게 쓰이지만, 자원 이용 시 접근허가를 받아야 하고 비용 부담도 커 국가 차원에서 관리에 나섰다"며 "생물자원을 이용한 대체물질 및 약재, 신·변종 감염병 치료제 등 개발이 광범위하게 이루지고 있어 표준화된 자원관리가 시급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는 기원이 확실한 생약부터 제대로 된 약재 개발을 지원하고, 원료의 품질 표준화 작업도 진행할 계획"이라며 "실제 신종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 원료는 팔각회 향이고, 위장약 스티렌 원료는 애엽"이라고 덧붙였다.
제주센터에서는 이런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몇 가지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아직은 시설, 장비 등이 완전히 갖춰지지 않아 본격적인 연구활동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조수열 생약연구과장은 "제주센터에선 자체과제 1건과 용역과제 5건을 진행 중"이라며 "아열대 생약자원 확보 및 대체생약 발굴 연구가 공동과제이고, 국가 생약표준품 품질관리 개선연구와 제조연구, 생약자원 분야 체계적 연구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등은 외부에서 실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광동제약 등 생약에 관심이 많이 제약사나 기관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며 "또 나고야의정서 대응을 위한 센터 기능 강화를 위해 유효성분 탐색을 통한 수입 대체 생약을 발굴하고, 사전 승인절차를 거쳐 확보된 유전자원을 연구자나 산업체에 제공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국내 자생 생약자원 확보·보존 등 국가생약자원 총괄관리를 통해 생약자원 입증 근거자료도 마련한다"며 "총성 없는 글로벌 자원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정부 예산 지원 및 인력 확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제주센터는 한약재 오용사건 등으로 추락된 한약 신뢰도 회복 및 대국민 홍보, 인식제고 에도 나선다.
지난 2015년 발생한 가짜 백수오 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은 약1500억원으로 추정되며, 산모의 수요에 도움이 되는 한약재 통초 대신 신장암을 유발하는 등칡이 판매된 사건도 있었다.
조 과장은 "한약재는 수입 유통구조가 복잡하고 기원식물이 다양하며 주로 절단생약 형태로 유통돼 정품 감별이 어렵다"며 "대상에 맞는 전문교육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약재 품질관리 업계 담당자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정품과 위품 표본을 구분할 수 있는 전문 관능검사위원들 교육훈련이 제공돼야 한다"며 "소비자의 경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품질관리 체계 홍보 및 전시·교육을 통한 한약재 및 제품 관련 인식제고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