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바이오 생산 43조→2030년 100조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오늘 '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확정 공개
2023.06.07 12:11 댓글쓰기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를 2020년 43조원의 두 배가 넘는 100조원 규모로 성장시키기로 했다.


기술 수준의 경우도 미국과 비교, 지난 2020년 기준 77.9%에서 2030년 8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바이오 기술이 고령화, 감염병, 기후 위기 등 글로벌 난제를 푸는 핵심기술로 부각되면서 세계 각국이 기술 패권 경쟁을 벌이는 대전환 시기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회의실에서 제39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난치질환 전자약 7개 개발 및 신약개발 플랫폼·국가공공 바이오 파운드리 구축


기본계획은 생명공학육성법에 따라 과기정통부가 주관해 15개 부처·청이 공동으로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생명공학 분야 최상위 법정 계획이다.


바이오 혁신과 관련해서는 2032년까지 디지털 치료기기 15개를 제품화하고, 2030년까지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당뇨병, 뇌전증 등 7개 난치·희소 질환 치료 전자약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개발을 지원해 2032년까지 10개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등 바이오에 디지털 기술 접목을 촉진하기로 했다.


신약개발 플랫폼으로는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플랫폼 K-MELODY를 구축하고, 첨단 디지털 기반 항체 3차원 단백질 구조예측 및 설계 플랫폼을 구축한다.


여기에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휴먼 디지털트윈과 인공장기(오가노이드) 등 차세대 가상 연구·실험 플랫폼도 만든다.


DNA 합성·편집 등 합성생물학은 2030년까지 연구개발 속도를 5배 향상하고, 핵심기술 수준을 미국 대비 90% 수준으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바이오 제조 기술 혁신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 중인 국가공공 바이오파운드리 건설을 내년에 착수, 오는 2028년 완공하는 것을 추진한다.


국가공공 바이오파운드리의 경우 농식품·해양 등 분야별로도 특화할 계획이다.


송도 조감도. 사진=인천시

바이오 데이터 플랫폼·지역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한국인 100만명 대상 유전체 및 임상데이터와 10대 암 임상 정보, 식물·해양동물 등 생명 유전자원 데이터 구축과 바이오 전 분야 연구데이터를 통합 수집·관리·공유하는 플랫폼도 구축한다.


바이오 기술을 통해 고령화, 기후 위기 등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임무중심 R&D도 강화한다.


2030년까지 글로벌 신약 4건을 개발, 미국과 유럽 당국의 승인을 받고, 노화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한국인 노화 생체시계를 개발하기로 했다.


여기에 mRNA 백신 등 감염병 대응 6대 분야 핵심기술을 자립화할 계획이다. 치매 발병도 5년 늦출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또 탄소중립 등 지속 가능한 경제를 목표로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디젤·수소 등 액체연료를 개발해 석유 중심 생산을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동물 단백질 대체식품과 메디푸드를 개발하고, 고품질 신품종 육성도 지원해 식량 주권을 확보하기로 했다.


바이오 경제 사업화를 위해 기술 고도화와 창업 지원부터 신생기업 보육, 글로벌진출 지원까지 전주기 지원도 확대한다.


창업 초기 기업들이 병원·연구기관의 우수한 연구 장비와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오 코어 퍼실러티'를 2028년까지 구축한다.


바이오소재 국산화와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치) 기업 육성도 촉진한다. 지역 기반 경제거점으로 바이오 클러스터를 확대 구축하고 핵심 주체인 병원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송도를 바이오의약품 생산 글로벌 허브로, 충북 청주 오송을 산업계·학계·연구소·병원이 집적화된 'K-바이오 스퀘어'로, 서울 홍릉은 '글로벌 메디클러스터'로 키울 방침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바이오 기술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 확보를 위해 비전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며 "디지털 바이오 육성 및 바이오 제조 혁신, 첨단 뇌 연구 촉진 등 과제를 완수해 바이오 전환기를 선도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