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비만약 ‘위고비’에 대한 시장의 관심과 열기가 뜨겁다. 이미 찾는 사람이 급격히 늘자 일부 병원에선 처방 권한을 특정과만 가능케 하는 등 공급량 조절에 나설 정도다.
특히 고가 치료제임에도 일시 품절대란이 발생했고, 온·오프라인 불법 유통 등 과잉처방, 오남용 논란도 일고 있다. 사재기 현상까지 일어나는 등 그야말로 ‘위고비 열풍’이다.
문제는 시장에서 정상 체중, 저체중인 사람들도 쉽게 처방을 받으면서 부작용 등을 간과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비만병’ 질환자 등에게만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기 때문에 주의가 절실하다.
비만 치료제라는 혁신 신약의 등장이 시장에서 관심은 크게 받고 있지만 일반인들 사이에서 비만을 질환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사실상 전무하다. 그러다 보니 처방부터 가볍게 생각한다.
박철영 대한비만학회 이사장(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은 “위고비는 체질량지수(BMI)가 27kg/m2 이상이면서 동반질환이 있거나, BMI가 30kg/m2 이상인 비만병 환자를 위해 허가 받았으며, 처방에 앞서 반드시 전문의를 통한 전문적 진단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비만치료제, 약효가 주는 임상적 의미 충분"
위고비는 임상시험에서 입증된 15% 이상의 체중 감량 효과,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효과 등으로 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처방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비만 치료에 부가적 효과까지 가진 혁신 신약이다 보니 요요현상 및 면역력 저하, 자살충동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박철영 이사장은 “위고비 안전성은 글로벌 3상 임상시험에서 확인됐다”며 “처방된 환자 데이터를 분석했을 때 면역력 저하, 자살 충동과 관련된 명확한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이상반응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문의 상담을 통해 개인에게 알맞은 용량을 처방받고 지속 점검하는 것”이라며 “위고비는 부작용보다 약효가 가지는 임상적 의의가 크기 때문에 엄격한 진단 및 관리 아래 처방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환자들이 비만 약에 대한 전문의 상담 이후 적절한 처방이 이뤄지면 문제가 없다고 봤다. 또, 기존의 부작용을 극복한 점 등을 근거로 위고비의 시장 진입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비만 치료제 위고비는 현재 BMI가 27kg/m2 이상이면서 동반질환이 있거나, BMI가 30kg/m2 이상인 비만병 환자에게만 처방할 수 있다고 허가를 받은 상태다.
박 이사장은 “위고비는 BMI 기준에 따라 명확하게 진단하고 치료돼야 하고 정해진 기준을 제외하곤 처방이 허가 되지 않았다”며 “의사도 환자도 올바른 선택을 해야하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확증된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비만병 환자 심혈관계 위험을 20% 줄이는 등 비만병 치료제 최초로 비만병 환자의 주요 심혈관계 사건 위험을 감소시켰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주요 비만병 치료제들이 심혈관계 안전성 이슈로 시장 퇴출 사례가 있다”면서 “위고비는 비만병 치료제의 심혈관계 안전성을 넘어 위험 감소를 입증해 비만병 치료제 시장에 굉장히 큰 의미이자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비만=질병' 인식 미미
의료계에서는 비만 문제 해소에 있어 가장 허들로 사회적 인식과 체중 감소라는 단순한 목적의 접근만을 해결책으로 여기고 있다는 점을 꼽는다.
박 이사장은 “아직도 많은 사람이 비만병을 질병으로 인식하지 않는데 비만병은 WHO가 정의한 질병”이라며 “체중 감량은 비만병 치료 목표 중 단 하나에 해당될 뿐 비만병은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신체는 물론 정신적, 사회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염두해야 한다”면서 “환자들이 빠른 효과만을 기대하거나, 생활 습관 개선 없이 약물에만 의존하려는 경향도 치료 장애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박 이사장은 비만병이 단순 개인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방향도 비만 질환 인식 개선, 치료제 접근 향상 등의 변화가 필요함을 당부했다.
그는 “비만병은 개인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 중대한 보건의료 문제”라며 “BMI가 5%만 증가해도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고 경제적 부담도 커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소아청소년 비만병 조기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현재 건강검진에서 BMI 25~30을 과체중으로 보는 것도 BMI25 이상을 비만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건강검진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질병 예방”이라며 “비만약 급여 등재도 재정의 한계가 있지만 최소 2~3단계 고도비만병 환자에겐 필요하다. 비만병 치료제에 대한 접근성은 여전히 숙제”라고 덧붙였다.
당뇨병 예방 목적 활용 가능···국내사 도전도 기대
최근엔 노년층을 넘어 2030 젊은 세대 당뇨병 환자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박 이사장은 비만 치료제도 진단에 따라 당뇨병 예방을 위한 치료에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고 봤다.
특히 비만 시장에서 위고비가 열풍을 일으키면서 대웅제약, 한미약품, 일동제약 등 국내 제약사 시장 진출도 빨라지고 있다. 그는 국내사의 비만약 시장 진출도 고무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박 이사장은 “비만병은 제2형 당뇨 발병의 주요 위험인자다. BMI가 1kg/㎡ 증가할 때마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20% 증가한다는 연구도 있다”면서 “비만병 전(前) 단계 또는 비만병한 사람이 체중을 감량하면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비만병 치료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기보다 전문의 진단 아래 허가사항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약제 적응증에 맞다면 당뇨병 예방 치료는 정당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비만병이 질환이라는 인식을 높이고,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자 노력할 것이다. 국내 제약사들이 다양한 기전, 제형을 가진 신약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환자 선택권 및 치료 접근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