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 시간제 약사, 100병상 이하로 변경 추진
병원약사회, 2022년 추진 회무 발표···"적정인력 배치·자동화 업무 지표 마련"
2022.05.27 05:15 댓글쓰기



금년 한국병원약사회(회장 이영희, 이하 병약)가 오랜 현안이었던 병원약사 수가 현실화를 위해 총 7개 수가를 신설하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병약은 26일 온라인 중간관리자 역량강화 교육을 오픈하고 이 같은 중점 추진 사업을 밝혔다. 


▲퇴원환자 복약지도료 ▲주사제 조제료 ▲고위험약물관리료 ▲DUR 수가 ▲약물모니터링관리료 ▲감염관리료 ▲중환자약료 등의 신설을 목표로 움직인다는 방침이다. 


병원약사들이 현장에서 다양한 임상약제업무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가 공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손현아 병약 사무국장은 “입원·외래환자는 조제·복약지도료 수가가 있지만 퇴원환자는 조제료만 있고 복약지도료가 없다”며 “병원약사들이 많은 시간을 들여 해당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니 이에 대한 수가를 인정해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병약은 관련 기초자료를 만들어 보건복지부에 의견서를 제출하고 대한병원협회에 협력을 요청할 예정이다. 


손 사무국장에 따르면 병원약사들은 앰플·바이알 등의 주사제 구매·관리·투약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조제료가 없어 수가 산정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고위험 약물관리료의 경우 지난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대한약사회와 공동으로 신설을 추진하다가 중단된 상태다. 


손 사무국장은 “항암제·항혈전제·근이완제 등은 일반 약물들에 비해 취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피력했다.  


현행 의료법·약사법에 따라 의사 뿐 아니라 약사도 의약품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의무가 생겨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병약은 기본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 외에 고도화된 DUR에 대해서도 수가 신설을 추진한다. 


또 최근 감염관리 업무가 늘어나면서 감염담당 전문약사 및 항생제 관리 시 약사의 역할이 늘었다. 감염관리료 신설이 필요한 이유다. 


이밖에 병약은 의료기관 적정성 평가 대비를 위한 중환자약료수가, 약물모니터링관리료 등도 추진한다. 


무자격자 조제 방지 위한 병원약사 적정 배치  


병원약사 인력기준을 개선하고 수급을 늘리는 것도 방점을 두고 있는 과제다. 


현행 의료법 시행규칙 제38조2에 의거, 300병상 미만 종합병원은 1인 이상 약사만 확보하면 된다. 


또 병원·치과(30병상 이상)·한방병원 등은 100병상 이하, 요양병원은 200병상 이하일 경우 주당 16시간 이상 시간제 근무 약사를 둬도 무방하다.    


손 사무국장에 따르면 현재 200병상 이하 요양병원 927곳(58.1%)에서 시간제 약사를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는 “약사 공백이 발생하면 무자격자 조제·오투약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병약은 복지부에 ‘요양병원 약사 인력 정원 개선 의견서’를 제출했으며, 이는 보건의료발전협의체 안건에 포함돼 있다. 


개선안은 주당 16시간 근무하는 시간제 약사 허용 기준을 200병상 이하에서 100병상 이하로 변경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조제업무 자동화 가이드라인 마련·오남용 마약류 관리 연구 


최근 의료기관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약제 업무에도 자동화 바람이 불고 있다. 조제업무에 자동화 장비가 사용되고 일부 병원에서는 항암제 무균조제 로봇도 도입되는 추세다. 


손 사무국장은 “반복적이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약제업무가 자동화되면 인력 재할당·효율 향상 등을 꾀할 수 있어 더 많은 병원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병약은 의료기관들을 대상으로 조제실 자동화 장비 현황 및 사용 효과·바코드 시스템·자동화기기 추진 계획 등의 실태조사를 진행해 이를 바탕으로 자동화 업무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이밖에 마약류 관리 관련 보건복지부 용역 연구도 이달 말까지 수행한다. 


손 사무국장은 “근래 특정 지역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펜타닐 패취제가 오남용돼 파장이 일었다”며 “이를 예방하고 의료용 마약류가 의존성을 높이는 측면이 있어 오남용 가능성이 있는 마약류 처방 현황 등을 분석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연구에는 아주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영남대병원·서울의료원·인천성모병원· 삼성창원병원·강동경희대병원·보바스기념병원 등 9개 병원이 참여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