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기업들의 국내 임상연구에 대한 R&D 투자 총액이 8729억원에 달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5.9%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을 통해 국내 환자에 지원한 의약품 비용은 3208억원이었다. 이는 대부분 중증‧희귀질환에 대한 활발한 임상 연구와 투자 확대로 이어졌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는 국내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 3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4년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R&D 비용과 연구인력에 대한 조사 결과 보고서’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는 2023년 기준 R&D 총 투자비용, 종사 인력 및 다양한 임상연구 관련 현황과 글로벌제약사 국내 R&D 분야 공동연구와 제도개선 제안 등이 포함됐다.
조사 결과 글로벌 제약사가 2023년 한해 동안 국내 임상연구에 투자한 R&D 총비용은 8729억원으로 전년대비 6.7% 증가했다. 2019~2023년 5년간 연평균 15.9%의 증가율을 보였다.
작년 기준 글로벌 제약사가 임상시험을 통해 국내 환자에게 지원한 임상연구용 의약품 비용은 약 3208억원으로 집계됐다.
임상연구는 전년 대비 약 7.7% 증가한 총 1723건이다. 최근 5년간 임상연구 건수 또한 연평균 2.9%로 성장하며 증가하는 추세다. 이 중 3상 임상의 수행 건수는 전년 대비 12.8% 상승한 644건으로 가장 많았다.
절차가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은 1~2상 초기 임상시험 수행 건수도 5년간 연평균 각 14.5%, 7.9% 늘었다. 이는 한국 임상시험 역량이 질적인 측면을 포함해 글로벌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증‧희귀질환에 대한 활발한 임상 연구와 투자 확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임상 연구 중 항암제 연구는 69.0%(975건), 희귀질환 연구는 13.5%(191건)를 차지했다.
최근 5년의 임상 연구 연평균 성장률에서도 항암제 연구(10.0%) 및 희귀질환 연구(35.3%)가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국내 임상시험 인프라 투자를 통해 기존 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중증‧희귀질환 환자는 임상시험으로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접할 기회를 얻게 된다.
글로벌제약사의 꾸준한 임상연구 투자는 국내 전문인력 창출 및 제약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지난해 R&D 활동 종사 인력은 총 2299명으로 2018년 이후 증가세다. R&D 인력 중 특히 임상연구 인력의 비중이 52.9%로 두드러졌다.
KRPIA는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된 글로벌 신약의 경우 치료가 절실한 환자들에게 보다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급여나 약가 결정에 있어서도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서울대학교병원 김동완 임상시험센터장은 “해당 보고서는 글로벌제약사들이 한국에서 활발하게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임상시험은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법을 안전하게 도입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의료진은 최신 의학지식을 활용해 보다 나은 진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들은 새로운 치료 기회를 얻게 된다”고 밝혔다.
김 센터장은 “최근에는 신기술이 도입된 다양한 임상시험이 시도되고 있다”면서 “선진화된 형태의 임상시험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제도 뒷받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