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이어 유통업체 피해···임상시험도 지연 우려
대학병원, '대금 결제' 변경 통보···임상은 아직까지 큰 차질 없는듯
2024.04.03 18:19 댓글쓰기

전공의 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 사태가 제약사에 이어 의약품 유통사에도 피해가 번지는 모양새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대형병원들이 최근 의약품 유통 대금 결제 시기를 수 개월 이상 미루면서 의약품 유통사 매출 피해가 확대될 조짐이 일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최근 자금 압박을 이유로 의약품 유통업체에게 대금지급 시기 변경 관련 공문을 발송했다. 대금지급 시기를 3개월 이내에서 6개월 이내 지급으로 변경하자는 것이 주요 골자다.


대금지급 시기 변경으로 인해 당장 자금 확보에 어려워 졌을 뿐만 아니라 종합병원 중심의 의약품 도매 매출도 실제로 줄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현재 한국의약품유통협회 등은 공문을 통해 국내 및 다국적 제약사들에게 고통 분담 차원에서 협조를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 결제기간 연장에 따라 유통사들의 제약사 대금 결제기한도 연장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현재까지 제약사들은 관련 사안에 대해 크게 대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약품 유통업체 한 관계자는 “의료대란으로 종합병원 도매 매출이 많이 떨어지고 있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항암제 등 영향권 제약업계 영업사원 방문금지도 지속


제약사 피해도 계속 심화되고 있다. 


‘영업사원 강제동원 의혹’ 등 논란은 물론 의사들이 제약사와 소통하는 상황이어도 갑질 및 리베이트 등으로 비화되자 영업사원과 약속을 잡지 않으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특히 서울아산병원은 지난 3월 13일 국내 주요 제약사들을 대상으로 ‘제약회사 영업사원 병원 방문 자제 안내 건’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발송하기도 했다. 


이 공문은 제약사 영업사원 ‘제한’을 골자로 한 통보로, 전공의 사직 등으로 외래·수술·입원 등 진료를 교수가 모두 맡게 되면서 대면 접촉을 전격 금지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은 해당 공문을 한국MSD, 한국얀센,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 SK플라즈마, JW중외제약, 이수앱지스, 보령(舊 보령제약), 유한양행, HK이노엔, 종근당, GC녹십자, 한국화이자제약 등에 보냈다.


이 외에도 셀트리온제약, LG(엘지)화학, 한국팜비오, 한독, 대웅제약, 삼양홀딩스, 동아에스티, 동국제약, 한미약품, 제일약품, 하나제약, SK케미칼, 일동제약, 다림바이오텍, 현대약품, 한국호넥스, 한림제약, 부광약품 등이 방문금지 공문을 수신했다.


더욱이 진료 차질로 심포지엄, 세미나 등 개최가 미뤄지거나 취소되는 사례가 빗발치고 있는 상황이다. 항암제, 마취제 등 수술 관련 의약품 제조사 실적 피해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종합병원을 담당하는 직원들이 지금 갈 곳이 없어서 업무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며 “대형사에도 실적에 영향을 줄 것은 불보듯 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내 주요 병원, 임상 지연 우려엔 “바이오기업 많아 로딩” 


전공의 사직 이후 교수들 업무 로딩으로 인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임상에도 적지 않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업계 분석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병원에 남은 교수들이 밀린 진료와 수술을 감당하느라 임상 시험에 참여하지 못하고, 병원들이 임상 진행에 필수인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회의조차 열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IRB’는 병원 내 교수들로 구성된 위원회로 안전하고 적법한 임상시험 여부를 심의하는 기구다. 제약바이오 업체들은 대학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반드시 IRB를 통과해야 한다. 


하지만 국내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고려대병원, 가톨릭대병원, 서울대병원 등 빅5 병원과 주요 종합병원 임상 담당자들은 IRB가 열리지 않거나 임상 차질은 없다고 봤다.


빅5 병원 소속 IRB 담당 관계자는 “IRB가 밀리는 이유는 과제가 많아서다. IRB가 열리는 것 자체는 전공의 사직 등과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심의되는 과제들은 몇 달 전에 들어온 것으로 이제 승인 중이라며 “상반기 끝자락에는 도달해야 임상 지연 등 피해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교수들의 의학적 처치는 진행이 되고 있고, 실제로 승인 심의된 건수 추세가 아직까지 크게 변화가 없다”며 “정해진 리소스 안에서 바이오업체들이 임상 시험 신청을 많이 했기 때문에 밀리는 것은 있다. 분위기는 다른 기관들도 모두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빅5 병원 IRB 담당자도 “전반적으로 봤을 때 평상시와 차이는 없다”며 진료과에 따라 당직이 다 몰려있으면 일정들이 바쁘니까 IRB 일정 지연이 있을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과들은 빨리빨리 진행을 하는 경향도 크다”고 설명했다.


식약처 임상시험 승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 1월 한 달 임상승인 건수 ‘15건’, 2월엔 ‘10건’, 3월 한 달 동안 임상승인 건수는 ‘27건’으로 의료대란 기간인 3월에 가장 많이 승인됐다.


업계 우려와 달리 전공의 사직 등 의료대란 시기에 오히려 임상승인 건수는 아직까지 피해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장기화 시 임상 차질···교수·업체 소통 부재 상황 촉각


다만, 의료대란이 장기화 된다면 임상 지연에도 피해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여전하다.


현재 제약사를 비롯 의료기기 회사 영업이 차질을 빚고 있고, 교수들도 임상 과정에서 회사 및 임상에 있어서 적절한 소통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향후 지연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해당 사안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연구개발 파트너인 교수들과 업체가 소통이 안되고 있다”라며 “적극 소통해야 할 의료 현장과 단절은 임상 지연 또는 방향성 이탈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는 연간 단위 상업화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상종병원 재정이 병원 연구 인프라에 영향도 줄 수 있다”라며 “옳고 그름을 떠나 상종병원은 박리다매 전략을 고수해왔는데, 이번 사태로 기존의 ‘다매’는 어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