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신지호 기자] 코로나19 방역인력의 업무 피로도와 스트레스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는 코로나19 업무 이후 건강이 나빠졌고 이직을 생각하고 있었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와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이 1천112명을 대상으로 '제2차 경기도 코로나19 치료·인력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설문 결과 응답자의 47.6%는 5개월 이상 코로나19 업무를 지속하고 있었다.
평균 업무 기간은 4.9개월, 최장은 240일이었다. 일평균 근무시간은 5.82시간, 일평균 휴식 시간은 1.58시간이었다.
역학조사관 등 현장대응직의 근무시간은 7.21시간, 선별진료소 업무 등을 맡는 보건소 공무원의 근무시간은 6.31시간으로 치료 팀(병원 간호사 5.67시간, 간호사 외 의료진 5.24시간)보다 길었다.
업무가 길어지면서 번아웃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응답자 중 33.8%가 번아웃을 구성하는 '감정적 고갈', '냉소', '효능감 저하' 항목에서 기준값보다 높았다. 특히 업무로 인한 감정 고갈을 겪은 인력이 많았다.
유 교수는 "코로나19 치료와 방역 인력들이 장기간의 업무로 정서적인 탈진 상태에 놓여있다"며 "일에서 성취가 아닌 냉소감과 낮은 효능감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가 받아든 방역 성적표의 뒷장이자 이면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업무 불공정하고 악성 민원 등으로 이직 의향 높아
코로나19 업무와 관련해 부당하거나 정의에 어긋나는 일로 인해 울분을 경험했다는 비율은 평균 69.7%였다.
역학조사관 등 현장대응직이 89.5%로 울분 경험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보건소 공무원 81.9%, 간호사 외 의료진 68.4%, 간호사가 63.4% 울분을 호소했다.
울분 원인으로 불공정한 업무분배가 25.4%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이어 감정적·억지 민원 19.6%, 비민주적 의사결정 16.2%, 부당한 취급과 대우 12.7%, 불충분·불공정한 보상 7.7%, 책임 전가 4.6% 이 있었다.
코로나19 관련 민원 중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유형으로는 무리한 요구가 38.5%를 차지했다. 29.6%는 감정적 불만 표출, 16.2%는 의료진 불신과 비협조, 12.7%는 진료 정상화나 비용, 절차에 대한 불만 등을 선택했다.
이러한 결과 응답자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자신감도 잃어가고 있었다. 코로나19 업무로 인해 건강이 악화됐다고 느낀다는 비율은 45.2%로, 지난 1차 조사때 37.5%보다 증가했다.
또 응답자의 69.4%는 자신의 직업이 코로나19 상황에서 위험하다고 인식했다.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은 36.6%였는데 이는 일반 경기도민 10.2%보다 약 3배 높다.
이들은 감정적으로도 피로에 시달리는 상태였다. 응답자 75.4%는 냉소를 느끼고 있었고 73.6%는 감정적 고갈 상태를 호소했다. 연구진이 스트레스를 측정한 결과 74.4%가 재모니터링이 필요했고 22.1%는 즉각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태였다. 모니터링이 필요없는 응답자는 3.5%에 불과했다.
피로도와 스트레스에 따라 업무 의지도 약해지고 있었다. 4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코로나19 업무를 계속하겠다는 응답은 2.95점에 그쳤는데, 이는 1차 조사때 3.16점보다 하락한 수치다.
선택할 수 있다면 이직을 하겠다는 응답은 5점 만점에 3.63점이었다. 이직 의지는 간호사 3.79점, 역학조사관 등 현장대응직 3.67점, 보건소 공무원 3.54점, 간호사 외 의료진 3.23점으로 전 직종에서 3점을 넘겼다.
응답자들이 생각한 감염병 대응 방안으로는 보상 등 정부의 사후책무성 강화가 5점 만점에 4.21점으로 가장 높았다. 전담 인력 양성과 민간의료 유인수단 확보가 각각 4.18점, 질병관리의 공적 투자 4.16점, 전담기관 신설 4.10점, 공공분야에 투입할 인력 증가 4.07점 등이었다.
유 교수는 "현장 대응직의 경우 임시직이 많고 특수한 상황이라는 이유로 초과근무 등이 당연하게 여겨진다"며 "계속 이런 상황 조건을 내세우면 감염병 위기 대응 시스템의 발전적 대응 정착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29일까지 경기도 코로나19 담당 인력 1천11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총 621명이 설문에 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