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치매환자 100만명···'초기 치료·관리 중요'
사회경제적 부담 급증, '초기 약물치료시 11조원 편익 예상'
2018.03.28 19:45 댓글쓰기

[기획 中]지난 2012년 약 54만명이던 치매환자는 2018년 현재 70만명을 넘어섰다. 이 속도라면 국내 치매환자수는 17년마다 두 배씩 증가, 2024년이면 100만명, 2041년에는 2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치매 유병률 증가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부담도 커졌다. 국내 총 치매 진료비는 약 1조8000억원으로(비급여 항목 제외) 2011년 대비 2배 늘었으며, 전체 노인(65세 이상) 진료비의 약 8%를 차지한다.


치매 치료를 위한 직접비용 외 보호자의 노동시간 손실, 조호 부담으로 인한 건강관리비 증가 등 간접비용까지 포함한 ‘치매 관리비’를 산정하면 비중은 훨씬 커진다.


실제 ‘치매노인실태조사’를 근거로 추정한 2015년 총 치매 관리비용은 약 13조2000억원(GDP의 0.9%)에 달했다. 2050년에는 약 106조5000억원(GDP의 3.8%)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치매 환자의 조호자는 매일 6~9시간과 연간 약 2000만원을 치매 환자를 보살피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초기부터 꾸준히 치료하면 ‘치매증상 지연’


치매 역시 다른 노인성 질환과 마찬가지로 초기에 치료해 진행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발견 및 치료를 통해 치매 발병을 2년 지연시킬 경우 40년 후의 치매 유병률과 치매 환자의 평균 중증도도 감소하게 된다. 이는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막대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치매를 완치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인지기능 항진제’라는 증상 치료제 개발 분야에선 두드러진 발전이 이뤄졌다.


증상을 경감시키고 중증 치매로 진행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치료제로 FDA 및 국내 승인된 약물은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인 ▲도네페질(donepezil)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갈란타민(galatamine)과 NMDA수용체 길항제인 ▲메만틴(memantine) 등 네 가지다.


치매 전문가들은 “치매 치료약물이 치매의 진행을 늦춰 중증도를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조기 발견해 치료할 경우의 누적효과는 상당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실제 조기에 약물치료 시작한 치매 환자군은 1년 뒤 치료 시작한 환자군에 비해 인지기능 개선효과가 유의하게 상승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인지재활훈련과 같은 비약물적 치료(운동 및 신체활동, 인지적 개입, 사회적 유대관계 형성 등)도 치매 환자의 인지 증상이나 행동, 우울 증상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다.

만성질환인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꾸준한 약물치료가 중요하다. 초기에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이나 신체적, 경제적, 정신적 부담 완화 가능하다.


“약물 등 환자 3명 중 1명만 치료받을 정도로 미진”


치매 조기검진에 의해 약물치료를 실시할 경우 발생하는 경제적 편익은 약 11조원이며, 8개년 동안의 연간 평균이익은 약 1조3000억원이다.


국회정책예산처 자료에서도 ‘치매 조기검진과 약물치료를 시행할 경우 연간 1조3000억원에서 2조8000억원의 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


치매를 조기 발견해 조기 치료를 시작할 경우 조호 가족의 부담 역시 감소된다. 조기 치료 시 치매 어르신의 가족은 향후 8년간 약 7900시간의 여가시간을 더 누릴 수 있고, 6300만원을 더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치매 초기단계부터 약물치료 시 5년 후 요양시설 입소율은 55%나 감소한다. 치매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약물치료는 일반적으로 빨리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다. 초기에 약물을 사용하면 건강한 치매 환자의 모습을 가능한 오래 유지 가능하다.


치매 중증도가 증가할수록 1인당 연간 관리비용 증가도 증가한다. 중증 환자의 치매 관리 비용은 경도 환자의 약 2배(3,187만원 vs 1,749만원)다.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9.94%(2017년 기준), 70만명 이상이 치매로 진단 받는다. 하지만 치매상담센터에 등록한 환자 수는 30만명(46.7%)으로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들 중 실제 치료 및 관리를 받는 환자는 35.7%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치매상병자의 약물치료 관리 공백률은 54.8%로 절반 이상의 환자가 약물치료 관리를 꾸준히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유봉구 교수(신경과)[사진]는 “초기 치료는 중증 치매가 시작되는 시기를 늦출 수 있어 중요하다. 이후 꾸준한 약물·비약물적 치료는 환자의 인지행동기능 감퇴를 경감, 환자는 물론, 간병 부담이 큰 보호자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가치매등록시스템 운영, 치매환자 통합관리 등을 통해 치매 진단자의 사후 관리 및 치료 실태 파악이 가능해졌다”면서 “주요 거점병원의 치매치료 역량 및 전문성 강화 등 치매 치료·관리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